소득수준이 낮은 청년층과 고령층에 대해서 주택에 대한 질이 낮아지고 주거비용도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송위원은 보증부월세 시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2014년과 비교했을때 월세비중이 55%에서 2016년에는 60%를 넘어섰다.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시중금리가 낮아지는 것을 가장 큰원인으로 꼽았다. 임대인이 전세보증금을 높이거나 보증부월세로 전환하여 금리가 낮아진 것에 보완하려 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한 임차인도 전세가를 더 높이기 위해서 목돈이 필요한데따른 부담으로 보증부 월세나 월세로 전환에 동의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주거비 부담은 증가추세에 있다. 경상소득에서 주거비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Rent to Income Ratio·RIR)을 살펴보면 2016년 기준 전세 거주자(22%) 보다 월세 거주자(32.1%)가 10.1%포인트 높았다. 소득이 낮은 청년층과 고령층의 주거비 부담은 각각 34.2%와 37.7%로 다른 연령층(20% 내외)에 비해 매우 높았다.
청년층과 고령층은 주거의 질이 떨어질수 밖에 없는 주거형태를 선택한다. 또한 수도권에서 점점 멀어지는 현상도 벌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른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 송위원의 주장이다. 청년층이나 고령층이 목돈 부담과 신용약화에 따라 선택이 폭이 좁다. 따라서 선택을 넓힐 수 있도록 양질의 주택이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보증부 월세시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M' Fun > 자료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쌀 생산량 조사 결과 - 37년만에 최저 (0) | 2017.11.21 |
---|---|
경기도 출산장려금 지급 현황, 5년간 860억원 (0) | 2017.11.15 |
실비보험 치과치료 보장되나? 치아보험 적용? (0) | 2017.08.10 |
공공기관 평균연봉 공개 (공공기관 임금체계 평가, 국회예산정책처) (0) | 2017.05.10 |
불법 수제 담배유통, 금연합시다. (0) | 2017.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