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1년 2개월 동안 금지되었었던 공매도가 5월 재개되었다. 한국 주식지수가 코스피는 3천선, 코스닥은 1천선을 유지하는 상황이어서 주가에 영향을 주어 지수가 큰폭을 하락 할 것이라는 예상이 있었다. 그러나 4월 코스피 지수가 2900~3100을 등락하던 주가 지수는 오히려 5월 들어 3100~3200 사이를 오가며 상승을 이어갔다.
공매도 재개에도 불구하고 국내 증시의 체력이 예전과 다른 것은 유동성의 힘과 주가 하락시 이를 저가매수 기회로 여기는 개인 투자자의 태도를 하나의 원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 금융당국이 강화된 업틱룰(직전 가격 이하로 공매도 호가 제출을 금지하는 제도)을 적용한 점도 효과가 있었다.
개별 종목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 한 달간 삼성전자가 공매도 거래대금이 가장 많았다. 18거래일간 삼성전자 공매도 거래액은 6117억원으로 일평균 340억원이었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칩 공급 차질 등 영향으로 투자 심리가 전반적으로 악화하면서 주가가 조정 받고 있다. 이달 들어 주가는 1.72% 하락했다. 하지만 이후 다시 반등을 예고하고 있다.
이밖에 공매도 거래대금이 많았던 종목은 △HMM 217억원 △LG화학201억원 △셀트리온 182억원 △현대차 175억원 순이었다. 셀트리온은 5월 3일 공매도 재개 후 2주에 걸쳐 공매도 금액이 가장 컸던 종목이다. 하지만 이후 차츰 안정을 찾아 4위까지 내려갔다.
< 공매도 거래대금 및 비중 상위 10개 종목의 주가변동률(억원, %) >
종목명 | 공매도대금 | 변동률 | 종목명 | 공매도비중 | 변동률 |
삼성전자 | 6,544 | △0.9 | 카페24 | 18.3 | △6.0 |
HMM | 5,677 | +20.5 | 포스코케미칼 | 17.9 | △3.7 |
LG화학 | 3,830 | △13.4 | 넷마블 | 17.6 | +7.7 |
셀트리온 | 3,374 | +0.2 | LG디스플레이 | 16.8 | △0.8 |
현대차 | 3,315 | +12.3 | 한국기업평가 | 16.6 | △1.4 |
LG디스플레이 | 3,218 | △0.8 | 카카오게임즈 | 15.5 | △1.5 |
SK이노베이션 | 3,216 | △1.3 | 아이티엠반도체 | 15.4 | △0.9 |
카카오 | 2,969 | +11.9 | 현대바이오랜드 | 15.0 | +4.9 |
SK하이닉스 | 2,915 | △1.6 | KH바텍 | 14.8 | △1.7 |
삼성SDI | 2,723 | △6.6 | 알테오젠 | 14.7 | △13.0 |
* 변동률은 4.30일 종가 대비 6.2일 종가 기준
공매도란 주식을 빌려 팔았다가 주가가 떨어지면 다시 사들여 주식으로 갚아 시세차익을 얻는 투자기법이다. 금융당국은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종목에 한해 재개했다. 5월 공매도 상황을 살펴보면 하락 이슈가 있는 종목이 주요 타깃이 됐다. 공매도 거래량 1위인 삼성중공업이 대표적이다. 5월 일평균 107만주가 거래된 삼성중공업은 1분기 대규모 적자를 냈다.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무상감자와 유상증자도 추진할 계획이다. 주가 역시 이달 들어 21.6% 급락했다.
< 투자자별 일평균 공매도 거래대금·비중 현황(억원) >
구 분 | 외국인 | 기관 | 개인 | 합계* | |
‘19년 | 공매도(A) | 2,641(62.8%) | 1,518(36.1%) | 48(1.1%) | 4,207(100%) |
총매도(B) | 18,361 | 13,531 | 60,335 | 92,992 | |
비중(A/B) | 14.4% | 11.2% | 0.1% | 4.5% | |
‘20년 (’20.1.1~3.13) |
공매도(A) | 3,604(55.1%) | 2,860(43.7%) | 78(1.2%) | 6,542(100%) |
총매도(B) | 27,679 | 21,227 | 87,163 | 137,247 | |
비중(A/B) | 13.0% | 13.5% | 0.1% | 4.8% | |
‘21년 (’21.5.3~6.2) |
공매도(A) | 5,827(84.7%) | 942(13.7%) | 113(1.6%) | 6,882(100%) |
총매도(B) | 44,256 | 28,676 | 179,535 | 254,426 | |
비중(A/B) | 13.2% | 3.3% | 0.1% | 2.7% |
* 합계에는 기타(일반법인) 포함
전문가들은 과거 공매도가 금지됐던 2008년과 2011년의 사례에서도 공매도 재개 후 시장 베이시스가 바로 이론가 수준까지 상승하지는 못했던 점에 주목한다. 2009년에는 6월 1일부터 공매도가 재개됐는데 7월 하순에 이르러 안정화 됐다. 2011년에도 11월 9일 공매도가 재개 됐지만 이후 시장은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가 2012년 들어 시장이 안정된 바 있다.
'M' Money > 돈되는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주식 100억이상, 최연소자 9세 (0) | 2021.04.11 |
---|---|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 사각지대(산후조리비용,월세,안경,렌즈) (0) | 2021.01.16 |
논란의 중심에 있는 도심속 허파, 그린벨트 - KB금융경영연구소 (0) | 2020.11.21 |
금값이 오른다, 금투자 방법-비용과 수수료는? (0) | 2019.06.27 |
최고 당첨금 미국 로또 직구로 구입하면 받을 수 있나? (0) | 2018.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