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면 내돈, 모르면 남의돈-잠자고 있는 돈을 찾자



 우리나라에 휴면계좌로 불리고 있는 미사용계좌는 2016년 말 기준으로 1억 2천만개가 넘는다. 금액으로는 17조원으로 그냥 얌전히 보관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니 주인들이 찾아가야 한다. 





 '미사용계좌'라는 것은 1년 이상 입출금 거개가 없거나 만기가 지나고 1년 이상 거래된 통장을 말한다. 미사용 계좌가 발생하게 되면 고객에세도 불이익이고 은행에도 비용이 발생한다. 고객은 수시입출금 통장으로 전화되어 받을 수 있는 이자 수익을 포기하게 되는 것이고, 미사용 계좌가 불법통장으로 전환 될수 있어서 국가적으로도 손해라 할 수 있다. 







휴면예금이나 미사용은행계좌 중에서 잔액이 50만원 이하 계좌가 전체 미사용계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97%를 넘어서고 있다. 100만원 이상 들어있는 미사용계좌는 2.6%로 작은 비중이다. 

 소비자들이 일부러 방치했다기 보다는 통장의 유무를 확인하지 못해서 생기는 일이라 생각된다. 미사용 은행계좌가 있다는 것이 대포통장으로 유용될 수 있고, 금융범죄에 악용될 우려가 있어 정리해야 한다는 것이 금감원에서 주장하는 내용이다. 







금감원은 올해 7월 14일까지 '미사용은행계좌' 정리하는 캠페인을 추진, 미사용계좌를 줄이겠다고 했다. 전국 은행권에서 함께 진행하는 행사에는 은행들이 미사용 계좌주의 연락처를확보해 미사용 사실을 알리는 것부터 시작된다. 또한 미사용 은행계좌 정리 고객에게는 기프트콘과 은행 포인트를 경품으로 제공한다. 





인터넷, 모바일, 은행창구를 통해서 계좌를 정리하고 나머지 금액은 쉽게 찾을 수도 있다. '어카운트인포', '파인'을 검색창에 넣거나 모바일 어플을 다운받고 잔액이 50만원 이하면 잔액이전이 가능하다. 또 모바일이나 온라인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은 어느 은행이든 가서 신분증을 제시하고 미사용 계좌 확인 및 이전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131406784271738817_170601_조간_미사용 은행계좌 정리하기 캠페인 실시.hwp





모든 경제 주체들이 손해를 보게 되는 것인데, 이에 대해서 '미사용 은행계좌' 정리 캠페인에 참여해서 잊혀진 내 돈을 찾아보면 좋을 것 같다. 






131406784271738817_170601_조간_미사용 은행계좌 정리하기 캠페인 실시.hwp
3.17MB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신청



 국세청은 5월 1일부터 31일까지 자녀장려금 신청을 받고 있다. 물로 안내장에는 근로장려금에 대한 내용도 기재되어 있으니 확인이 필요하다. 안내장을 못받았다고 해당 사항이 없다고 생각하지 말고 신청 조건이 맞으면 서류를 준비해서 온라인이나, 관할세무서 또는 우편 접수를 활용해 보자. 






 5월말까지 자녀장려금을 신청하지 못하면 6월부터 11월 30일까지 신청이 가능하다. 그러나 산정금액의 90%만 지급된다. 자녀장려금을 받으려면 18세 미만 부양자녀가 있고 총소들이 4천만원이고 재산 합계액이 2억이 안되어야 한다. 


 대상이 확인되면 자녀 1인당 최대 50만원까지 지급된다. 신청이 끝나면 국세청은 신청자의 요건을 심사해 9월 중에 자녀장려금을 지급한다는 계획이다. 





국세청은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 신청과 관련한 보이스피싱, 스미싱, 파밍 등의 금융사기가 있어 주의를 요청했다. 문자로 자녀장려금을 유인 단어로 해서 회원가입 유도후 통장과 체크카드 사본을 보내는 수법이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국세청에서는 금융 사기가 의심되면 즉시 신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원문출처 http://www.nts.go.kr/news/news_10.asp?minfoKey=MINF8720140113095527&type=V&mbsinfoKey=MBS20170430155639107


실비보험 변경안 - 4월부터 달라진다.




 실손의료보험 변경안이 발표되고 다음달에 시행을 앞두고 있습니다. 일부 언론에서는 현재보다 훨씬 저렴한 보험이라고 홍보를 하고 있는데 과연 실질적인 도움은 얼마나 될까요?





 실비보험은 질병, 사고 등으로 환자가 내야할 입원, 통원, 수술 등의 실제 병원 치료비를 보장하고 있습니다. 가입자가 3200만명 이상이고 고객이 손해만큼 보상한다는 뜻으로 실손보험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즉 병원비보다 더 얹어서 주는 상품은 아닙니다. 



3200만명의 가입자 중에 설마 빠져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생명보험 협회나 손해보험협회에 의료실비 조회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실비보험은 가입기간에 따라서 보장하는 항목이나 질병이 다르다. 본인 언제 가입했는지 아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새로 바뀌 표준 실손의료 약관에는 그 이전에 보장에서 제외되었던 한방치료와 치과치료에 대해서 건강보험 적용부분에 자기 부담금을 보장하고 있다. 









실손의료보험은 2009년 제도 변경에 따라서 가입인원이 급격히 늘어났고, 제도를 손질할때마다 절판으로 가입자가 늘어나고 있다. 2017년 4월에서 보장내용 축소와 자기부담금 증가에 따라서 가입을 확인하려는 사람들이 많다. 





 본인의 질병에 대해서 확인하고 가입이 가능하다면 아프기 전에 가입해야 한다. 회사에 따라서 가입이 가능한 회사와 보험료에서 차이가 날 수 있으니 비교 설계해줄 수 있는 곳을 찾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2017년 실손변경에서 현재 20%였던 자기부담금이 30%로 늘어나게 되고 기본형과 특약형으로 구분되어 고객의 선택권을 넓혔다는 설명이다. 즉, 이전에는 보장 하던 내용을 선택형으로 제외해서 가입 의사를 표시해야만 보장을 받을 수 있다는 얘기다. 





 보험료는 이전에 비해서 낮아졌지만, 앞으로 보험금 지급부분에서 같은 질병에 대해서 다른 보험금 지급 사례가 늘어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보험은 고민하지 않고 비교하고 가입을 서두르는 것이 요령이다. 
















보도자료_실손의료보험 제도개선방안.pdf


실손의료보험 제도개선방안.pdf



실손의료보험 제도개선방안.pdf
1.21MB
보도자료_실손의료보험 제도개선방안.pdf
0.53MB




2016년 손상된 화폐




비상금을 숨겨두었다가 오랜만에 찾으면 웬지 꽁돈을 얻은 느낌이 든다. 그러나 너무 꽁꽁 숨겨두면 찾을 수 없을 뿐아니라 망실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어른들은 방바닥에 넣었다가 습기로 인해서 돈이 망가진 경우도 있다. 


2016년 한국은행에서 교환한 지폐와 주화는 모두 36억 3천만원이라고 밝혔다. 은행권인 지폐의 경우는 18억원정도였고, 주화인 동전은 18억 4천만원으로 주화의 교환이 더욱 많았다고 한다. 






은행권 교환액을 종류별로 보면 5만원권은 12억 4천만원, 만원권, 5억원, 천원권 3천만원, 5천원권 2천1백만원으로 조사되었다. 


 주화의 교환액을 동전별로 보면 100원화가 8억5천만원, 500원화가 8억 3천만원, 50원화가 1억1천만, 10원화가 6천만원이었다. 





손상된 사유를 확인해보면 가장 큰 이유는 불에 탄 경우가 많았다. 그 뒤로 장판 밑, 냉장고 등에 보과하다가 손상되었거나, 세탁기 등에 부주의한 취급으로 인한 손상도 있었다. 자세한 사례는 첨부파일에서 확인하면 된다. 







 한국은행이 폐기한 손상된 지폐와 동전은 총 3조원이 넘는 금액을 기록하고 있다. 지폐는 5억5천만장으로 새로운 화폐도 대체하기 위해서 들어가는 금액이 464억원이나 된다고 한다. 


<가위로 잘라 낸 경우>



<폐차장에서 수거한 주화>


손상된 지폐의 교환 기준


1. 앞뒷면을 모두 갖춘 은행권의 남은 면적이 원래 크기의 3/4 이상이면 액면금액 전액

2. 3/4 미만∼2/5 이상이면 액면금액의 반액을 교환

3. 2/5 미만이면 무효로 처리되어 교환받을 수 없음



지폐 교환의 자세한 내용은 한국은행 사이트 (http://www.bok.or.kr)

화폐-화폐관련 법규 및 서식-화폐교환 기준 및 방법 참조







노인실비보험 ▶무료견적 이용해보세요.



부모님 실비보험 보장 

 

 

 제 2의 국민건강보험이라고 하는 실손보험 가입자수가 3500만명이 넘었다고 하지요. 만성질환을 앓고 계시거나 연령이 너무 높은 분들 빼고 가입이 되어있습니다. 

 그러나 아예 생각도 안하시고 가입을 미루고 있는 분들도 많다고 합니다. 특히 어른들 가입률은 저조하다고 합니다. 





 연령이 높아지면서 병원에 가서 치료받을 확률이 높습니다. 2015년 건강보험 진료비 통계에 의하면 65세 이후 평생 의료비의 3분의 1일 사용한다고 합니다. 그만큼 노후에 필수적인 준비가 실손보험을 기본으로 하는 보험 상품입니다. 




 평균 수명을 100세까지 살게 되는 시대입니다. 이전 세대보다 오래살게 될 것입니다. 아픈 곳은 점점 많아지게 될 것이고 그에 들어가는 의료비를 깍아 주지 않을 것입니다. 스스로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부모님 실비보험으로 실버의료비 상품들을 비교해보고 가입할 수 있습니다. 질병과 상해에대해서 보장을 받기 위해서는 특약 가입시 선택이 중요하고 본인이 현재 질병 내역을 고지해야 합니다. 그냥 가입된다는 말에 놓치시면 가입보다 더 중요한 보상을 받을 수 없게 됩니다. 꼭 확인하고 가입하실 수 있어야 합니다. 





 70세에 가입하셔도 앞으로 보장 받을 시간이 많습니다. 노후에 아파서 안가는 병원보다는 병원비와 무서운 결과를 확인하기 싫어서 안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불안하다고 병원을 멀리 하시면 병을 키울 수 있습니다. 

 이럴때 필요한 상품이 의료실손보험입니다. 







 연세가 있으신 부모님 실비보험을 비교 가입할 수 있습니다. 회사별로 질병에 따른 인수 조건이 달라서 한꺼번에 편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실버실비보험은 질병과 상해에 대한 의료비에 대한 보상이 특약 가입이 가능합니다. 


 





 할인 인수를 통해서 고혈압이나 만성질환에 대해서 심사 신청도 수월해졌습니다. 심사가 편해진 만큼 보장한도와 납입되는 보험료를 회사마다 비교해서 선택하시는 요령이 필요합니다. 

 70세가 넘으셨다고 해도 체력은 많이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활동력이 높다보니 그에 대한 보장 확인이 필요합니다. 





노인실비보험과 함께 진단비에 대한 보장도 설계가 가능합니다. 특약 가입시 암진단비, 뇌출혈진단비, 급성심근경색 진단비 등에 대해서 설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험 상품은 성별에 따라서 연령에 따라서 보험료의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질병력이나 과거 치료력에 따라서 가입방법에 따라서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양한 회사의 상품을 한번에 비교 선택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