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손상된 화폐
비상금을 숨겨두었다가 오랜만에 찾으면 웬지 꽁돈을 얻은 느낌이 든다. 그러나 너무 꽁꽁 숨겨두면 찾을 수 없을 뿐아니라 망실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어른들은 방바닥에 넣었다가 습기로 인해서 돈이 망가진 경우도 있다.
2016년 한국은행에서 교환한 지폐와 주화는 모두 36억 3천만원이라고 밝혔다. 은행권인 지폐의 경우는 18억원정도였고, 주화인 동전은 18억 4천만원으로 주화의 교환이 더욱 많았다고 한다.
은행권 교환액을 종류별로 보면 5만원권은 12억 4천만원, 만원권, 5억원, 천원권 3천만원, 5천원권 2천1백만원으로 조사되었다.
주화의 교환액을 동전별로 보면 100원화가 8억5천만원, 500원화가 8억 3천만원, 50원화가 1억1천만, 10원화가 6천만원이었다.
손상된 사유를 확인해보면 가장 큰 이유는 불에 탄 경우가 많았다. 그 뒤로 장판 밑, 냉장고 등에 보과하다가 손상되었거나, 세탁기 등에 부주의한 취급으로 인한 손상도 있었다. 자세한 사례는 첨부파일에서 확인하면 된다.
한국은행이 폐기한 손상된 지폐와 동전은 총 3조원이 넘는 금액을 기록하고 있다. 지폐는 5억5천만장으로 새로운 화폐도 대체하기 위해서 들어가는 금액이 464억원이나 된다고 한다.
<가위로 잘라 낸 경우>
<폐차장에서 수거한 주화>
손상된 지폐의 교환 기준
1. 앞뒷면을 모두 갖춘 은행권의 남은 면적이 원래 크기의 3/4 이상이면 액면금액 전액
2. 3/4 미만∼2/5 이상이면 액면금액의 반액을 교환
3. 2/5 미만이면 무효로 처리되어 교환받을 수 없음
지폐 교환의 자세한 내용은 한국은행 사이트 (http://www.bok.or.kr)
화폐-화폐관련 법규 및 서식-화폐교환 기준 및 방법 참조
'M' Money > 돈되는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신청 기간 놓치지마세요 (0) | 2017.05.03 |
---|---|
실비보험 변경 4월-보험료는 약간 낮추고 보장 폭은 줄이고 (0) | 2017.03.13 |
부모님 실손의료보험-노인 실비보험 선택은? (0) | 2017.01.26 |
청년취업 내일공제-청년·여성 취업 연계 강화 방안 (0) | 2016.05.02 |
통신 3사 일부 약관 무효-멤버십 포인트는 재량으로 (0) | 2016.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