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여성 취업 연계 강화 방안-아직은 안이하다




 다섯번째 일자리 정책을 내놨다. 2016년 2월 청년 실업률이 12.5%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업의 재정을 투입하고 세제혜택을 주고 있지만 일자리 대책은 매번 실패를 한 것이다. 정부가 내놓은 정책중 청년취업인턴제는 종료 1년 뒤 고용유지율이 60%에도 미치지 못했고 중도탈락자도 20%를 넘었다. 


 이번에 내놓은 27일 정부가 내놓은 청년·여성 취업 연계 강화 방안의 핵심은 일자리 대책을 정부 부처 위주의 공급자 중심에서 청년들이나 여성들의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한다는 것이다.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청년취업 내일 공제의 경우 기업에 지원하는 보조금을 개인에게 돌려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청년인턴제 제도에서 정부는 기업이 받던 정규직 전환금 390만원 가운데 300만원을 기여금으로 내놓도록 했다. 여기에 정부가 600만원을 보탠다. 

 청년이 중소기업에서 인턴에서 전환되어 2년을 일하면서 매달 12만 5천원을 중소기업진흥공단이 관리하는 개인 명의 계좌에 30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600만원, 기업이 300만원을 추가적으로 지원해서 1200만원에 이자약간이 보태지는 구조다. 





 2016년 7월 1일부터 이용이 가능하며 재원이 한정되어 있어 1만명만 지원할 수 있다고 한다. 물론 제도적인 안정이 이뤄진다면 내년에 추가 재원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종업원 5인 이상인  중소기업은 청년취업내일 공제에 참여할 수 있지만, 최저임금의 110% 이상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붙습니다. 2년 만기 시에만 정부 지원금이 전액 지원된다. 중간에 그만두거나 해지될 경우에는 본인이 납입한 금액은 돌려주고 정부 지원금은 정부로 환수된다고 합니다. 



160427_강소기업명단(게시용).xlsx






 이번 정책도 정보와 재원은 제공하지만, 열심히 노력해서 취업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기 보다는 만들어진 일자리의 정보를 제공하고 오랫동안 근속해서 취업률이 떨어지지 않도록 저축금액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정책인 것이다. 

 정부의 생각은 일자리가 널려 있지만, 일할 의지가 없는 청년들이나 여성들을 위해서 정보를 제공하고 보조금을 지원하면 누구나 취업을 할 수 있다는 생각인 것이다. 










160427_강소기업명단(게시용).xlsx
0.11MB



통신사의 귀책사유-해지시 위약금 면제



 참여연대의 이동통신사에 대해 불공정 약관 심사 청구에 대해서 일부 수정한다고 합니다.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졌던 이통사의 멤버십 포인트에 대해서는 통신사의 재량으로 폐지하거나 사용기간이 축소된다고 하더라도 약관법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SKT는 지난해 2월 T가족 포인트를 폐지했고, KT도 같은 달 포인트 사용 유효기간을 2년에서 1년으로 축소했습니다. 이에 대해서 참여연대는 지난해 7월1일 공정위에 통신 3사의 불공정약관에 대한 심사를 청구했습니다. 이에 대해서 공정거래 위원회에서 회신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다른 한 축이었던 통신사가 기존 요금제를 없애거나 요금할인 혜택을 축소하는 등 소비자에게 불리하도록 약관을 변경할 경우, 소비자는 위약금 없이 계약을 해지할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공정위는 회신결과에서 "멤버십 포인트 폐지와 사용기한 축소는 공정위가 판단하는 '약관'이 아니기 때문에 심사대상이 아니며 멤버십 포인트 제도는 이동통신 계약의 핵심적인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사업자의 재량에 맡겨야 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에 대해서 참여연대는 "통신사가 멤버십 포인트제도를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이를 통해 가입자를 유치한 후에 해당 멤버십 포인트 제도를 일방적으로 변경·폐지한다 해도 가입자는 계약을 해지할 수도 없고 해지할 경우 고액의 위약금을 물어야 한다"고 부당함을 강변했습니다.


또다른 문제였던 고객의 의사 표시가 없어도 자동으로 설정되는 국제로밍서비스 약관에 대해서도 통신사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그러나 공정위는 요금제와 요금감면규정이 변경될 때는 개별 고객에게 변경된 내용을 알려야 한다고 했습니다. 불리하다고 판단될때 소비자는 계약 해지에 대해서는 위약금이 면제 된다는 것을 약관에 명시하도록 규정했다 합니다. 






 멤버십 포인트 제도에 대해서 통신사의 부가서비스라서 줘도 그만이고 안줘도 그만이라고 해석을 한것은 아쉽습니다. 1년간 주어진 포인트를 제대로 사용하는 소비자가 많지 않고 저도 전부 쓴적이 없는 것 같은데요. 통신사가 가입할때는 포인트 제도를 크게 광고하고 소비자 이익에 대해서 무방비 하는 느낌이 들기때문입니다. 그러나 불공정한 위약금 제도에 대해서 명시된 것도 큰 발전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앞으로 조금씩 나아지는 모습으로 소비자에게 이익이 될 수 있도록 제도의 개선이 이뤄지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유안타 증권 cma 체크카드 이용




 동양증권이 유안타증권에 인수되고 나서 중국 관련 전문 증권사가 된 것 같습니다. 대만기업인데 우리나라 시스템과 많이 달라서 새로운 마케팅이 없었던 것 같지요. 


 개인들이 많이 가지고 있는 동양증권 cma 통장은 활용도가 높고 예금자보호가 된다는 이유로 많이 가지고 있는데요. 





CMA 통장에 연동되어 있는 체크카드는 유안타증권 ATM기가 아니더라도 사용하기가 많이 편합니다. 연계 은행에 따라서 수수료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시 꼭 확인해야 합니다. 

유안타 CMA 체크카드는 편의점에도 수수료를 내지 않고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늦은 시간이 현금이 필요해서 찾으려고 할때 수수료 내본 분들은 너무 아깝다는 생각을 많이 했었을 것인데요...



CU 편의점에서는 출금만 가능하고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세븐 일레븐은 입금까지 무료로 이용할 수 있어서 활용도가 더욱 높아졌다고 하네요. 




BGF 캐시넷 간판 및 유안타증권 전용 서비스 버튼을 꼭 확인하시고 이용하셔야 합니다. 다른 자동화 기기는 수수료가 부과된다고 합니다. 




 이용시간은 시스템 작업 거래로 제한될수 있는 23:55~00:05 이외에 365일 24시간 이용이 가능합니다. 출금한도가 정해져 있어서 50만원까지 현금으로 인출할 수 있고, 하루에 600만원까지 인출가능합니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유안타 현금카드가 사용가능한지 확인하는 것은 기본이지요. 





 롯데 ATM기에서도 출금이 가능합니다. 입출금이 무료 서비스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한도는 CU보다는 높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체할때 고객 등급에 따라서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으니 본인 등급은 필수적으로 알고 있어야 합니다.  






정리해보면 연계 은행의 경우는 출금수수료가 면제됩니다. 영업시간 뿐만 아니라 영업시간외에도 본인이 정한 은행은 출금수수료가 면제입니다. 유안타 CD기를 사용할때는 통장정리가 가능하고 입출금과 당행이체에 대해서는 무료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롯데와 제휴를 통해서 LOTTE ATM기에서는 입출금 수수료가 면제됩니다. 







아이폰 btv 모바일 가입/해지



sk 텔레콤에서 LTE 62요금제로 사용하면서 BTV모바일이 무료라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무료라기 보다는 한정적인 지원이라는 말이 옳을 것 같다. 현재 3000원인 요금을 여러가지로 혜택을 주어서 무료로 만들어놓고 언제든지 무료를 없애면 되는 구조로 만들어져 있다. 케이블에 가입할때 총 요금을 주목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해지될 때는 그동안 모아 놓은 금액에서 할인한 금액을 모두 토해내야 하기 때문에 무섭다. 


 내가 B TV모바일을 사용하지 않았던 이유는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2009년 부터 아이폰을 사용하다 보니 편리한 점도 있지만 그에 못지 않게 사용할 수 없는 어플이나 혜택이 꽤 된다. 그렇다고 바뀌 생각은 아예 없다. 




 아이폰으로 비티비 모바일을 가입할때는 가입할 주소를 설정하고 들어가야 한다. 사파리로 들어가서 주소창에 직접입력을 하거나 114 고객센터를 활용하면 가입이 된다. 물론 고객센터에 전화한다고 곧바로 가입되는 것은 아니다. btv 모바일은 sk브로드밴드에 전화하자. 


 일단 혼자서 가입한다고 생각하고 http://m.skbtv.co.kr/skt 직접입력한다. 


 아이폰이 아닌 안드로이드 사용하는 사람들은 티프리미엄 어플을 설치하면 무쟈게 다양한 활용범위가 소개된다고 합니다. 별도로 설치해야 하지만, 아이폰보다는 덜 번거로울 것 같습니다. 






 본인인증을 위한 창이 활성화됩니다. 스스로에 대해서 모르는 정보가 있으면 확인하고 준비하면 될 것 같습니다. 





 신용정보 혜택에서 중요한 것은 귀찮다고 모두 동의를 누르면 나중에 더 큰 불편함이 다가옵니다. 끊임없이 자라나는 스팸을 순간의 선택으로 키우는 실수를 해서는 안되겠지요. 동의가 필수인 부분만 체크해서 들어가시는 요령이 필요합니다. 







 '광고 제공 수신동의(선택)' 부분을 미선택하시고, 포인트 활용을 위한 선택부분도 삭제하셔야 합니다. 은행에서도 모든것을 동의할 필요는 없습니다. 자연스럽게 모두 체크하거나 빈칸으로 두게 하는데, 미동의해도 가입하는데 문제없는 것을 알려다라고 하시면 됩니다. 




 모든 절차가 마쳐지면 LTE62 요금제 이상은 1000원할인이 되고 티프리엄 할인 2000원이 되어서 최종 결재금액이 '0원'이 되는 것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무료 사용이라기 보다는 약간의 노력과 개인정보를 제공해서 얻는 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가입이 완료되면 B tv moble app을 설치해야 합니다. 여기서 어플에서 사용한 아이디와 비번을 변경하게 됩니다. 물론 여기서 잘못 가입된 경우는 귀찮더라도 탈퇴하고 다시 재가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들어가지도 나오지도 못할 수 있으니 그냥 다시 시작으로 처음부터 시작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탈퇴는 어찌해야 하는가? 일단 열심히 보다보니 이제는 볼게 없어졌습니다. 지상파와 연결이 끊어지면서 케이블은 본방을 꼭 봐야 할 사유가 없는 관계로 그렇게 필요성이 없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탈퇴할때도 주소치고 들어가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전화로 sk브로드 밴드에서 확인도 가능합니다. 

http://skbtv.co.kr/mobile





사실 가입보다 탈퇴가 훨씬 빠르게 진행됩니다. sk는 탈퇴에 대해서 걱정해본 적이 없는 것 같아요. kt 탈퇴할때는 고생을 좀 하고 짜증을 좀 냈지만, sk는 좀 수워했던 기억이 있네요. 





 이렇게 하시면 b tv 모바일 탈퇴가 마무리 됩니다. 다시 가입하면서 역순으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하락하는 유가에 투자??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원유에 대해서 우리나라를 울게하기도 하고 웃게 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5대 산업중에 하나인 석유화학 군의 주가는 기를 펴지 못하고 있다. 떨어져도 너무 떨어진 유가 때문이다. 일정 정도 가격이 유지된다고 가격했던 마진폭이 줄어드는 속도가 눈에 띄게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떨어지고 있는 유가에 투자하는 것이 좋은 투자일까? 아니면 또한번 배가 떠나고 아쉬움으로 밤을 지새워야 하는가??



 원유의 가격을 결정하는 요인은 경제학에서 가르치는 부분과 같다. 즉 공급과 수요의 원칙에 불편한 세력들의 싸움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중국이나 인도 등의 신흥국을 중심으로 수요를 촉진시켜서 가격을 올릴수 있는 요인을 가지고 있다. 

 반대로 공급측면에서는 OPEC과 러시아, 미국등의 움직임을 살필 수 있어야 한다. 


 2001년 이후 주가와 유가 흐름을 보면서 경제성장과 금융위기 지정학적 리스크에 원유값이 반응했다. 2005년 이후부터 원유가격이 실물 부문의 수요,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변수라기 보다는 투기 세력에 의해서 움직이고 있는 모양새이다. 


 앞으로 달러가 강세로 전환되고 중국의 위환화 절하 같은 이슈가 더 발생한다면 유가는 어디가 끝인지 다시 보여 줄것으로 예상된다. 투자할때 기간과 수익성을 고려해야 하는 시점이 된다는 것이다. 








 OPEC의 주장에 의하면 전세계에 석유매장량은 1조 배럴이상이 있다고 한다. 전세계에서 소비되고 있는 석유량은 300억 배럴정도 된다고 하니 바닥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50년정도 남았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런데도 유가가 하락하고 있는 것은 인간의 개발능력으로 인해서 이전에 채굴할 수 없었던 곳 까지 기술을 진보시켰기 때문이다. 





3대 유종의 이해

 석유는 발굴하고 있는 곳에 따라서 특징이나 질에 따라서 구분할 수 있는데, 200가지 이상이 된다고 한다. 현재 유가를 결정하고 있는 3대 유종은 WTI, 브렌트, 두바이다


WTI는 미국에서, 브렌트는 영국 옆에 있는 북해, 두바이는 중동에서 나오는 원유이다. 원유의 가격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성질은 무게와 유황 함류량인데 일반적으로 가볍고 유황이 적은 원유의 가격이 높다.


모든 기준에서 제일 좋은 기름이 WTI(서부텍사스중질유: 실제 기준으로 보면 중질유가 아니다. 그래서 NYMEX에서는 그냥 Light, sweet oil로 거래된다.)이고 하루 선물거래가 Notional 기준으로 전세계 하루 소비 82백만 배럴의 5배 이상이 되어 가격 결정의 대표성이 있어 bm 가격으로 많이 쓰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