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자격증 정말 필요한가?



 우리나라의 자격 현황 G20000_99.pdf



 취업시장이 힘들어지면서 각종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청년이나 경력단절여성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력서에 한줄 더 추가하려는 마음으로 여러자격증을 준비하지만 현실적으로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듭니다. 직무에 관련되었다고 하더라도 적합한 자격증인지 확인해야 하지만, 급한 마음에 돈과 시간을 들여서 취득하지만, 결국 소용이 없었다는 소리가 들리기도 합니다. 




출처 http://www.krivet.re.kr/ku/da/prg_kuBHBVw.jsp?pgn=&gk=&gv=&gn=E5-E520160009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자료에 의하면 현재 정부에 등록된 민간 자격증은 1만 7000여종에 이른다고 합니다. 2007년 자격기본법이 변경되면서 정부가 민간자격 등록제를 도입하면서 특별한 심사과정 없이 등록되다 보니 급속히 늘어나게 된 것입니다. 절박한 심정에 구직자들이 자격증 학원에 몰리고 있지만 딱히 필요한지는 알 수 없다. 또한 비슷한 교육과정으로 유사자격증도 난립하고 있습니다. 심리상담 관련 민간자격증은 1460종, 웃음 관련 자격증은 196종이 넘는다고 하니 놀랍다는 생각만 듭니다. 







민간자격증 응시자 추세




 현재 우리나라 운영, 관리하는 자격은 2015년말 2만개에 육박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국가기술자격은 전체 자격의 4%, 민간자격은 9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연도별 자격현황



 국가기술자격과 공인민간자격 응시자는 각각 200만명으로 총 400만명이 시험을 접수하고 있지만, 점점 응시자 숫자가 감소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잘 알아보니 않은 민간자격은 급하다고 먹은 고구마 껍데기와 같습니다. 배고파서 먹기는 하지만, 영양가는 없고 소화시키느라 에너지만 소모되어 더욱 힘들어지는 상황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자격증을 취득하기 전에 본인의 성향을 알아야 하고 앞으로 필요한지에 대해서 고민해보는 시간이 있어야 하겠습니다. 



우리나라의 자격 현황 G20000_99.pdf
1.12MB




리턴 투 센더(Return to Sender. 2015)


 로자먼드파이크, 실로 페르난데즈. 강렬한 두 배우의 연기만 봐줄 수 있는 영화다. '반송' 보낸 사람에게 다시 돌아오면 인과응보, 자업자득, 정도로 해석될 수 있는 영화다. 






 외모부터 성격까지 남들에게 빠지지 않는 외과 간호사 미란다. 늘 활기차고 적극적인 성격으로 주위에 사람도 많다. 그런 그녀에게는 까끔하고 집착하는 성격이 있다. 남이 만진 물건을 만지지 못하고 나만의 공간에서만 생활이 가능하다. 




 병원에서 일하는 베스트의 부탁으로 남자를 소개받게 된다. 그 남자를 기다리는 중 의문의 남자로부터 성폭행을 당하게 된다. 범인은 그녀의 기억속에 있던 남자였고 체포된다. 






 불합리한 것이나 자신에게 위해한 것을 참지 못하는 성격인데, 성폭행의 여파로 본인 생각했던 삶의 좌절감을 맛보게 된다. 그러나 그대로 있을 수는 없다. 





 미란다는 범인에게 편지를 쓴다. 그러나 대답없이 반송되어 돌아온다. 




 사건 이후 손 감각에도 문제가 생긴다. 세심한 작업은 아예 생각도 못한다. 그러나...




그리고 범인을 면회간다. 일상적인 대화. 목적이 정해진 대화가 오간다. 





  물건 하나도 본인 것이 아니면 사용할 수 없는 미란다. 왜 계속 범인에게 면회를 가고 대화를 이어가고 있을까?




 그리고 가석방으로 나온 범인은 미란다의 집을 고치는 일을 도와준다. 성심성의껏 도와주는 저의는 무엇이었을까? 과거를 반성하고 미래를 계획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모습일까? 







2015 한국 사회지표 (통계청)



2015 보도자료 통계표(최종).xls





통계청이 발표한 ‘2015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2015년 5062만 명인 우리나라 총인구는 2030년 5216만 명으로 최고점을 기록하고 감소하게 된다고 한다. 인구에서 또하나의 특징은 급격한 고령화다. 2015년 65세이상 인구 비중은 13.1%를 기록했다. 2017년에 이르면 노인인구 비중이 유소년 인구비중을 앞지르게 된다.  







2060년에는 길거리에 돌아다니는 사람 10명중 4명은 65세 노인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노인인구에 대해서 높아지는 복지비용도 고려해야 할 것이고 세수가 부족한 부분도 고민해야 할 시점이 도래한 것이다. 







 수입은 찔끔늘었지만 소비도 줄여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인해 당장의 소비를 늘리기를 부담스러워하는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5년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가구 소득은 437만3000원으로 2009년이후 증가폭이 가장 작았다. 주거에 대한 부담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 줄어들면서 나눔에 대해서도 줄이는 현상이 나타났다. 물론 세액공제로 바뀌는 원인도 무시는 못하겠지만, 전반적으로 경제상황이 불안한 심리로 인해서 나눔에 인색하게 되었다는 것이 분석결과다. 2015년 국내 학생 1인당 사교육비는 월 24만원 정도 평균비용이 들었다고 한다.








원문 출처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52215


2015 보도자료 통계표(최종).xls
0.81MB




중고폰 팔려면 많이 돌아다녀야...



 단통폰 시행 이후 중고폰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새로운 폰으로 바꾼다는 것이 비용이 크고 새로운 폰이 놀라운 기능들이 탑재되어 있지 않아서 중고폰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졌습니다. 또한 분리요금제로 할인을 받을 수 있어서 중고폰 선호는 더욱 높아지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기존에 쓰던 구형 폰을 어떻게 처리하느냐도 문제인데요. 중고폰을 높은 가격에 팔기 위해서는 발품을 팔아야 한다는 군요. 







중고폰 매입 가격을 살펴보면 갤럭시 s6가 30만원 근처에서 형성되어 있고 lg의 g4가 35만원 근처에서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고 하네요. 신규폰을 기다리고 있는 분들도 있지만 기능에 차이가 많이 안난다면 비싸게 살필요는 없습니다. 

 테러방지법이 통과된 이후에는 아이폰의 몸값이 더 올라갔다고 하네요. 아무래도 수요가 몰리다보니 이러한 현상들이 나타나는 것이겠지요. 





 같은 기종의 스마트폰인데 중고가격이 철차만별이네요. 얼마나 많이 돌아다니느냐에 따라서 가격이 달라진다는 것이 신기할 뿐이네요. 그러면 중고폰을 살때도 발품을 많이 팔아야 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온라인 등을 통한 거래는 안전을 담보할 수 없고, 요금제 할인등의 문제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하네요. 





 중고 스마트 폰으로 팔게 될 경우는 기기를 초기화하여 내보내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합니다. 4번에서 5번 정도는 해야 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스마트 폰에 온갖 정보들이 다 들어 있는데... 복구해서 열어보기라도 한다면... 




 2g폰의 경우는 우체국에서 매입을 하고 있는데, 작동 여부에 상관없이 기기당 1000원이라고 합니다. 물론 배터리는 있어야 하고요. 집에 놀고 있는 2g폰이 있으신 분들은 가까운 우체국에 한번 다녀오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출처 mbc 뉴스데스크





라면시장의 변화



라면시장의 변화가 거세다고 하네요. 몇년전에 맑은 국물로 인기를 끌었던 꼬꼬면 이후의 변화라고 하네요. 마트에 갔다가 사려고 했던 진짬뽕만 없어서 당황했습니다. 라면은 언제나 신라면만을 아무생각없이 고르던 것에서 짬뽕면을 선택하게 되었다는 것도 놀랍네요.





우리나라 라면 시장규모가 2조원이 넘는다는데 놀랍습니다. 우와... 대단한 라면사랑의 나라라는 생각이 드네요. 매출 규모 1000억원되는 회사가 별로 없는데, 하나의 브랜드에서만 1000원이 넘게 팔리는 라면이 있더라구요. 





라면 시장은 원래 삼양이 압도적으로 지배했던 시장이었습니다. 닭고기 육수에서 소고기 육수로 국민들의 영양을 위해서 변화를 주었다가 식양청의 우지 파동 사건으로 시장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그 뒤 라면 시장은 판도가 바뀌어서 지금까지 지속되었습니다. 





 전체 시장에서 작년 12월 판매되는 규모를 보면 짬뽕면이 확 치고 나온 모습입니다. 진짬뽕이 전체 규모에서 15%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굵은 면발로 이후 시장의 변화를 주도했습니다. 다른 회사들도 앞다투어 굵은 면발의 면을 내놨고 지속적으로 판매가 이뤄지고 있다고 합니다. 예전에 신라면은 마트에서 가장 좋은 자리에 있었는데 요즘은 변화가 생겨서 굵은 면에 자리를 내주었습니다. 




 건강을 생각해서 나트륨 함량도 줄어서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라면은 하나만 먹어도 1일 섭취량을 거의 채운다고 할 정도인데, 맛을 살리면서 조금씩 줄여나가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 라면에 또다시 단무지나 김치를 얹어서 먹어야 하는 한국인의 입맛은 어디를 내놔도 최고인것 같습니다. 





60%이상 라면 시장을 주도했던 농심이 진짬뽕 출시 이후에 점유율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오뚜기는 점유율이 점점 올라가고 있는 것이 보이고 있습니다. 좀더 치열한 경쟁으로 가격과 건강을 위한 식품이 나오면 좋겠지요. 





 한끼 식사를 대체할 수 있는 라면이 있어서 혼자서 식사를 할 부담이 줄어드는 것도 사실입니다. 앞으로 얼마나 더 1위 자리를 지속해 나갈지 궁금해지는 시간입니다. 



참고 mbc[이브닝 이슈] '짬뽕맛'의 습격, 라면 업계 들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