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출산장려금 및 양육비 시군별 현황(2016)
교육부와 시도교육청간에 누리과정 예산의 갈등이 아직도 해결책이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해결을 위해서 나름의 노력을 하고 있다고 하지만, 그냥 벽을 보고 얘기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서로간에 만남이 있다면 대화를 해야 하는데, 그냥 주장만 받아들이라고 하고 있으니 4살짜리들이 말다툼을 해도 저것보다는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2016년도 출산장려금이 줄어든 곳이 많다고 하는데,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경기도의 각 시군별 현황이 올라왔습니다. 광명시의 경우 이번해부터 둘째아도 지원대상에 들었다고 하네요.
출산장려금
기초 단체별로 해당 조례에 의해서 둘째아이부터 지원하는 곳도 있고 셋째아이부터 지원하는 곳이 나뉘고 있습니다. 금액도 천차만별로 아이가 많은 곳은 적게 주고 아이가 적은 곳은 많이 주는 것은 기본이지만, 재정여력에 따라서 양육비까지 지급하는 곳이 있네요.
☞ 둘째아 이상 지급 : 성남시, 안양시, 남양주시, 평택시, 시흥시, 광명시, 군포시, 김포시(첫째아이부터 지급), 구리시, 양주시, 포천시, 오산시, 의왕시, 여주시, 동두천시, 양평군, 과천시, 가평군, 연천군 (19개 시·군)
☞ 셋째아 이상 지급 : 수원시, 고양시, 부천시, 용인시, 안산시, 의정부, 화성시, 파주시, 광주시, 이천시, 안성시, 하남시 (12개 시·군)
양육비
성남시, 안산시, 의정부시, 광주시, 이천시, 안성시는 매월 양육비를 지급하고 있네요.
시·군별 출산장려금 및 양육비 현황 ('16.1월 현재)
시군명 |
구분 |
지원대상 및 금액(단위:천원) |
지원기간 |
지급기준 |
근거 |
||||
둘째아 |
셋째아 |
넷째아 |
다섯째이상 |
||||||
수원시 |
출산지원금 |
|
1,000 |
2,000 |
2,000 |
1회 |
출산일 기준 180일 이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부모 또는 보호자 |
수원시 |
|
성남시 |
출산장려금 |
300 |
1,000 |
2,000 |
3,000 |
1회 |
출산일 기준 180일 이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
성남시 |
|
양육수당 |
|
100 |
100 |
100 |
매월지급 |
신청일 현재 성남시 거주 |
지침 |
||
고양시 |
출산장려금 |
|
500 |
500 |
500 |
1회 |
출산일 이전부터 고양시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세번째 이상 출생아 가정 |
고양시 |
|
부천시 |
출산축하금 |
|
500 |
500 |
500 |
1회 |
출산일 기준 부 또는 모 180일 이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
부천시 |
|
용인시 |
출산장려금 |
|
1,000 |
2,000 |
3,000 |
1회 |
출생일 기준으로 부모 중 한명이 180일(6개월) 이상 관내 거주 |
용인시 |
|
안산시 |
출산장려금 |
|
1,000 |
1,000 |
1,000 |
1회 |
출생일을 기준으로 부 또는 모가 관내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
안산시 |
|
양육비 |
|
30 |
30 |
30 |
매월지급 |
신청일 현재 부 또는 모와 함께 관내에 주민등록을 두고 1년 이상 계속 거주 |
|||
안양시 |
출산축하금 |
300 |
1,000 |
1,000 |
1,000 |
1회 |
부모가 관내에 주민등록을 두고 6개월 이상 거주, 거주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출생일부터 6개월 이상 거주 |
안양시 |
|
남양주시 |
출산장려금 |
300 |
1,000 |
1,000 |
1,000 |
1회 |
출생일을 기준으로 부 또는 모가 180일 이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 |
남양주시 |
|
의정부 |
출산장려금 |
|
500 |
500 |
500 |
1회 |
출생일 기준 부 또는 모가 의정부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셋째이상의 자녀(거주지 제한 없음) |
의정부시 |
|
키움수당 |
|
50 |
50 |
50 |
매월지급 |
||||
평택시 |
출산장려금 |
500 |
2,000 |
2,000 |
2,000 |
1회 |
출생일 및 입양일 기준 1년 전부터 신청일 현재까지 부모 중 1명이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단, 출생일 또는 입양일 기준 1년 미만일 경우 1년 6개월이 경과한 날 신청 가능) |
평택시 |
|
시흥시 |
출산장려금 |
200 |
500 |
2,000 |
2,000 |
1회 |
출생일 기준 부 또는 모가 180일 이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거주 |
시흥시 |
|
화성시 |
출산지원금 |
|
1,000 |
2,000 |
3,000 |
1회 |
신생아 출생일 기준으로 부 또는 모가 180일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 |
화성시 |
|
광명시 |
출산장려금 |
300 |
500 |
1,000 |
1,000 |
1회 |
부 또는 모가 출생일 이전부터 현재까지 주민등록상 광명시에 주민등록 되어 있고 실제거주 |
광명시 |
|
파주시 |
출산장려금 |
|
800 |
800 |
800 |
1회 |
출생일 기준으로 셋째 이후 출산자녀와 함께 실제 거주하고,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자녀의 부 또는 모(거주지 제한 없음) |
파주시 |
|
군포시 |
출산장려금 |
500 |
1,500 |
1,500 |
1,500 |
1회 |
출생일로부터 6개월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해야하며, 거주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 출생일로부터 계속하여 6개월 이상 거주 |
군포시 |
|
광주시 |
출산장려금 |
|
1,000 |
1,000 |
1,000 |
1회 |
출산일 기준 6개월 이전부터 부 또는 모가 광주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출생신고 후 60일 이내 신청 |
광주시 |
|
양육비 |
|
209 |
209 |
209 |
매월지급 |
주민등록상 부모와 자녀 3명이 모두 광주시에 주소를 두고 거주(보육료, 양육수당과 이중지원 가능) |
지침 |
||
김포시 |
출산축하금 |
(첫째아) |
1,000 |
1,000 |
1,000 |
1회 |
신생아의 출생일을 기준으로 180일 이전부터 신청일 현재까지 김포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한 보호자로 하며 대상자녀는 주민등록상 동일 세대원이어야 함(2015년 8월 1일 이후 출생한 신생아부터 적용함) |
김포시 |
|
50 |
|||||||||
|
|||||||||
이천시 |
출산축하금 |
|
1,000 |
2,000 |
3,000 |
1회 |
출산일 기준 부 또는 모가 6개월 또는 출산 후 1년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
이천시 |
|
양육비 |
|
50 |
50 |
50 |
매월지급 |
신청일 기준 관내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하는 부 또는 모 |
이천시 |
||
구리시 |
출산지원금 |
200 |
500 |
500 |
500 |
1회 |
출산일 기준 부 또는 모가 관내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
구리시 |
|
(거주기간 제한 없음) |
|||||||||
|
|||||||||
양주시 |
출산장려금 |
200 |
700 |
700 |
700 |
1회 |
출생일 기준 부 또는 모가 관내에 주민등록을 두고 1개월 이상 거주하고, 출생신고일로부터 180일 이내 신청 |
양주시 |
|
안성시 |
출산축하금 |
|
500 |
500 |
500 |
1회 |
출생등록시 보호자와 함께 시에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셋째이상 자녀 |
안성시 |
|
양육수당 |
|
100 |
100 |
100 |
매월지급 |
출생등록시 보호자와 함께 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셋째이상자녀, 또는 보호자가 생후1년 미만의 자녀와 전입시 자녀가 생후 1년이 되는 달까지 지원 |
|||
포천시 |
출산장려금 |
300 |
1,000 |
3,000 |
3,000 |
1회 |
출생일로부터 6개월 이상 계속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부모 |
포천시 |
|
오산시 |
출산장려금 |
500 |
1,000 |
3,000 |
3,000 |
1회 |
출생‧입양일 기준 부 또는 모가 관내에 주민등록을 두고 6개월이상 거주 |
오산시 |
|
하남시 |
출산장려금 |
|
1,000 |
2,000 |
2,000 |
1회 |
출산일 기준 부 또는 모가 관내에 6개월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출생신고를한 경우 지원 |
하남시 |
|
의왕시 |
출산장려금 |
500 |
1,000 |
1,000 |
1,000 |
1회 |
출생일 기준 부 또는 모가 6개월 이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6개월 미만인 경우 6개월 경과하였을 경우 지원 |
의왕시 |
|
여주시 |
출산장려금 |
100 |
2,000 |
5,000 |
7,000 |
분할지급 |
출생‧입양일 기준 180일 이전부터 계속하여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하는 부모 |
여주시 |
|
(2회분할) |
(4회분할) |
(5회분할) |
|||||||
|
|
|
|||||||
동두천시 |
출산장려금 |
250 |
1,000 |
1,000 |
1,000 |
1회 |
출생일 전 3개월부터 신청일 현재까지 동두천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계속 거주하는 부 또는 모 |
동두천시 |
|
양평군 |
출산장려금 |
3,000 |
5,000 |
7,000 |
10,000 |
분할지급 |
출산일 현재 12개월 이상 관내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부모, 출산일 현재 12개월 미만 거주 시 12개월 경과 후 지원 |
양평군 |
|
(3회분할) |
(4회분할) |
(5회분할) |
(5회분할) |
여섯째아이상 |
|||||
|
|
|
|
20,000 |
|||||
|
|
|
|
(5회분할) |
|||||
과천시 |
출산장려금 |
500 |
1,000 |
1,000 |
1,000 |
1회 |
부 또는 모 관내 거주 180일 이상 또는 출생일로부터 180일 이상 거주 |
과천시 |
|
가평군 |
출산축하금 |
2,000 |
5,000 |
10,000 |
10,000 |
분할지급 |
출산‧입양일 기준 부 또는 모가 6개월 이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
가평군 |
|
(2회분할) |
(5회분할) |
(5회분할) |
(5회분할) |
||||||
|
|
|
|
||||||
연천군 |
출산축하금 |
2,000 |
5,000 |
10,000 |
10,000 |
분할지급 |
부 또는 모 관내 거주 180일 이상, 180일 미만인 경우 180일 경과 시 지원 |
연천군 |
|
(2회분할) |
(5회분할) |
(5회분할) |
(5회분할) |
||||||
|
|
|
|
'M' Fun > 자료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고폰 가격시세는 발품에서... (0) | 2016.03.09 |
---|---|
진짬뽕의 돌풍, 라면 시장의 변화 (0) | 2016.02.29 |
설 명절 기차표 예매 일정(2016년) (0) | 2016.01.14 |
가계부채 및 해지환급금 지급 현황과 시사점(2015 보험연구원) (0) | 2016.01.08 |
임신, 출산, 산후 관련 질병 분류표 (0) | 2015.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