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통계로보는 여성의 삶
한국에서 여자로 산다는 것은 녹녹하지 않다. 여성 근로자 중에 40%는 비정규직이고 월 평균임금도 남성의 60% 수준인 178만원으로 나타났다. 다니는 직장은 불안하고 주택마련이나 치솟는 전세값에 주거환경도 불만이 높다. 환경적인 요인으로 결혼을 미루거나 아예 접어버리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2015년 초혼 연령이 30대로 올라갔다.
통계청과 여성가족부가 '2016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여성 임금근로자는 2016년 3월 기준 842만명이고, 이중 비정규직은 339만명이다. 남성에 비해서 비정규직 비율은 두배 가까웠다.
여성 비정규직 중에서도 시간제 근로자가 161만8000명으로 더욱 열악한 환경에서 근로를 하는 여성이 많아졌다. 육아 부담이나 경력단절로 인해서 취업시장에서 외면받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여성의 학력이 높아지면서 공무원, 전문직 비중도 늘고 있다. 차별이 덜한 직군에 취업 경쟁률이 점점 높아지고 여성의 비중도 높아지고 있단는 것이다. 교사를 포함한 학교 교원의 여성 비율은 76.9%에 달했다. 교수 등 대학(원)의 전임교원 중 여성 비율도 24.4%로 전년(23.6%)보다 0.8%포인트 늘었다.
고등고시에 합격률도 높아져서 2015년 공무원 5급 공채시험 합격자 중 여성 비중은 48.2%, 사법시험 합격자 38.6%, 외무고시 64.9%로 각각 집계됐다. 남성과 차별이 덜한 7ㆍ9급 공채 합격자 중 여성 비율 7급은 39.9%, 9급은 52.6%를 차지했다.
전문직이라 할 수 있는 의학계에 종사하는 여성 비율도 늘면서 의사는 24.7%, 치과의사 26.6%, 한의사 19.7%, 약사는 63.8%로 각각 조사됐다.
결혼을 꼭 해야 한다고 답한 여성은 52.3%로 남성(61.5%)보다 9.2% 낮았다. 이는 지난 2008년 61.6%를 기록한 후 계속 낮아지고 있다.
참고자료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62809465606044
'M' Fun > 자료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 국가 암등록통계 자료(2016년) (0) | 2017.01.03 |
---|---|
대지진 시뮬레이션 [도쿄방재] 재해발생 대비 (0) | 2016.09.16 |
민간자격증 1만7천개-수강료, 교재비 장사? (0) | 2016.05.20 |
2015 한국 사회지표 (통계청), 팍팍한 삶 (0) | 2016.03.25 |
중고폰 가격시세는 발품에서... (0) | 2016.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