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돈을 관리하자!! 퇴직연금 수수료 비교
2005년 도입당시 160억원의 적립을 가지고 있던 퇴직연금이 11년이 지난 작년 기준으로 가입자수 600만명, 적립액 150조원을 돌파했다. 폭풍 성장했다는 말이 딱 맞는 표현일것 같다. 하지만, 적립금에 비해서 본인의 노후를 위해서 준비하고 있는 퇴직금의 향방을 모르는 직장이 많다. 소비자가 두 눈을 똑바로 뜨고 있어야 도둑이 들지 않는다.
퇴직연금은 형태별로 DB, DC, IRP 형태로 운영이 되고 있다. 회사에서 퇴직연금을 가입할때는 선택을 해야 하고 대부분 아무 생각없이 DB형을 찍는 경우가 많다. 손해안보고 회사가 알아서 채워넣으면 되니까.
그러나 DB형으로 세제 혜택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운영하려는 극소수의 직장인도 있다.
문제가 되는 것은 수익률이 너무 박해졌다는 것이다. 금리가 낮아지면서 퇴직연금의 안정성을 위해서 원리금 보장형을 운영하는 곳은 수익률이 더 심한 타격을 입었다.
수익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곳도 있다. 최초 도입시 이자률이 5%를 넘는 곳이 많았고, 그에 따른 수수료는 그렇게 큰 문제로 다가오지 않았다. 그러나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 될 것으로 예상되어 수수료에 대해서 정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내가 가입하고 있는 퇴직연금 수수료를 한번에 보여주는 사이트. 금융소비자정보허브 파인(fine.fss.or.kr)사이트에 접속하면 금융정보사이트가 한번에 보인다.
금융회사별 퇴직연금 수익률과 수수료율을 비교 해 볼 수 있다. 그리고 DB형의 경우는 회사 경로를 통해서, DC형의 경우 담당 회사에 본인의 퇴직연금에 대해서 설명을 요청할 수 있다.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와 어떤 형식으로 운영해야 되는지에 대해서 의견을 들을 수 있다.
'M' Money > 궁민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수령액, 은퇴전 평균소득의 24% (고령사회 대비 노후소득보장체계 성과분석-감사원) (0) | 2017.05.22 |
---|---|
국민연금 최소 보험료 인하할까? 임의가입 증가세 (0) | 2017.04.10 |
국민연금 분할연금은? 청구기간 연장. (0) | 2017.03.07 |
100세 고령자 급증-사회적 대책 필요 (0) | 2016.10.28 |
부부 노후생활비 217만 8천원? (0) | 2016.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