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2023년 중장기 기금재정관리계획
매년 수조원의 적자를 메꾸기 위해 혈세가 투입되고 있는 공무원연금과 군인연금 등 직역연금도 개혁의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나마 공무원연금은 2015년 개혁으로 '더 내고 덜 받는' 구조가 됐지만 군인연금은 40년 넘게 줄곧 예산의 지원을 받으면서도 근본적인 개혁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기획재정부가 이달 초 국회에 제출한 '2019∼2023년 중장기 기금재정관리계획'에 따르면 공무원연금에 대한 정부 보전 규모는 올해 1조6000억원에서 2023년 3조3000억원으로 2배(106.3%) 이상 급증한다. 군인연금도 1조5700억원에서 1조9100억원으로 21.6% 늘어난다. 두 직역연금 보전액을 합치면 올해만 3조1700억원이 투입된다. 5년 후엔 국민혈세 투입이 2조원 이상 늘어난다.
직역연금에 정부보전금이 대규모 투입되는 건 현행법에 재정이 고갈됐을 때 정부가 보전해준다고 명시돼 있기 때문. 공무원연금은 1993년부터 적자를 기록하다 2000년 정부 보전이 결정됐고 이듬해부터 정부 보전금이 투입되고 있다. 애초에 별도의 기금이 제대로 조성되지 않았던 군인연금은 1973년 이후 매년 국방부 예산으로 메꾸고 있다. 또 다른 직역연금인 사학연금도 기금 부족시 '국가가 부족액을 지원할 수 있다'고 규정이 있다. 당장은 아니지만 적자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되는 2023년이면 사학연금에도 세금을 넣어야 한다.
이처럼 막대한 세금이 들어가지만 막상 가입자에게 지급되는 연금액은 국민연금과 차이가 크다 공무원연금관리공단에 따르면 공무원연금의 1인 평균 수급액은 월 240만원이고, 군인연금은 월 평균 270만원 이상 받는다. 국민연금 평균 54만원을 수급한다.
수급받는 금액의 차이는 가입기간과 기여율이 다르기 때문이다. 공무원연금은 평균가입기간이 27년1개월에 달한다. 17년1개월에 불과한 국민연금과는 10년 차이가 난다. 군인연금도 최소가입기간이 19년6개월이다. 매달 내는 보험료율을 뜻하는 기여율은 공무원연금 18%, 군인연금은 14%지만 국민연금은 9%다.
납입하는 금액이 적고 기간이 짧다는 것은 나중문제고 수급받는 금액에서 차이가 난다는 것은 일반 국민들에게 상대적 박탈감으로 다가온다. 또한 국민연금에 대한 불신의 원인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매달 지급되는 연금은 재직기간 1년당 연금지급율를 곱해서 구한 값을 다시 재직기간 평균 월급에 곱해 정해진다. 연금지급률이 공무원 연금의 경우 1.7%, 군인연금은 1.9%에 달하는 반면 국민연금은 1.0%에 머문다. 단순히 연금지급률만 보면 직역연금이 70~90% 더 받는 셈이다. 결국 국민연금과 함께 직역연금의 개혁도 유사하게 끌고 가면서 격차를 줄여가는 게 현실적인 대안으로 꼽힌다.
https://n.news.naver.com/article/newspaper/008/0004280415?date=20190920
'M' Money > 궁민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최고 수령액, 월 227만원 수령 (0) | 2021.03.24 |
---|---|
국회예산정책처, '2019~2028년 8대 사회보험 재정전망' (0) | 2019.12.12 |
국민연금기금의 자산배분 및 수익률 국내외 비교 <국회예산정책처> (0) | 2019.08.04 |
국민연금 분할연금-유책배우자도 수급권 인정 (0) | 2019.07.23 |
국민연금 부부 최고수령액은? (0) | 2019.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