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중 지급결제동향> 한국은행



신용카드와 같은 역할을 하면서도 결재시 즉시 인출되는 체크카드의 인기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2017년 사용 실적도 전년에 비해서 10%정도가 늘었다고 한다. 


체크카드 이용실적 추이를 보면 2014년 3120억원, 2015년 3680억원, 2016년 4240억원이었다. 카드 이용실적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9%로 지난해 처음으로 20%를 넘어선 이후 확대 추세에 있다. 





발급된 카드 숫자만 비교해도 이미 신용카드를 넘었다. 작년 한해에 발급된 체크카드가 1억 3천만장에 육박해 1억장이 안되는 신용카드를 비교된다. 


 체크카드 사용이 늘어나는 이유는 신용카드와 같이 할인서비스 등의 부가서비가 유사하기 때문이다. 체크카드는 근로소득세 연말정산 때 소득공제율이 30%로 신용카드(15%) 보다 높고, 캐시백, 영화관·놀이공원 현장할인, 포인트 적립 등 신용카드와 유사한 서비스 제공이 있고, 연회비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2017년 신용카드 이용실적은 하루 평균 1조7600억원이었다. 개인 신용카드 이용실적이 1330억원으로 10.2% 증가했으나, 법인카드 실적은 4300억원으로 오히려 감소했다. 한국은행의 설명에 따르면 모바일 이용이 늘고 여행, 편의점 등에 이용실적이 증가했다. 반면 법인 회원에게 제공했던 국세 카드납부 수수료에 대해서 축소함녀서 법인의 신용카드 국세납부가 줄면서 이용실적도 줄었다고 설명했다. 





 체크카드, 신용카드, 선불카드 등을 모두 합한 지급카드 이용실적은 하루 평균 2조2000억원으로 5.9% 늘었다. 증가율은 전년(11.8%)보다 둔화했다. 2017년 모바일뱅킹 결제금액은 인터넷전문은행의 출범으로 전년보다 53.7% 증가했다. 반면 어음·수표 결제액은 꾸준히 줄고 있다. 





출처 한국은행(http://www.bok.or.kr/main/korMain.action)








고령자 범죄 현황과 특징



 우리나라 인구 고령화가 빨라지면서 고령 범죄도 늘고 있는 상황이다. 폭행이나 상해를 가해서 검거되는 노인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교정 시설 수용자 숫자도 급격히 늘고 있다. 인구 고령화에 따라 노인범죄 비중이 느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고령자 범죄의 비중은 노인인구 증가를 추워하고 있고, 범죄의 유형이 흉포화 한다는 것이 문제다. 







 법무부는 범법 행위로 전국 교정ㆍ수용 시설에 갇혀 있는 만 65세 이상의 수용자는 2016년 2,438명으로 10년 전인 2007년(782명)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전체 수용자는 2007년 4만5647명에서 2016년 5만7669명으로 26.3% 증가했다. 그중 만 65세 이상 수용자 비중은 이를 8배 가량 웃돌았다. 이 중 형이 확정돼 교도소에 수감된 노인 수형자는 1614명으로 2007년보다 3배 증가했다. 


전체 수용자에서 만 65세 이상 노인이 차지하는 비중도 2007년 1.7%에 불과했으나 2009년 2.0%, 2013년 3.3%를 기록했고, 2016년 4.2%로 사상 처음으로 4%대를 돌파했다. 






 대검찰청의 범죄분석 자료에 따르면 2006년 노인범죄 중 인구 10만명당 강력 흉악범죄 발생비는 6.8명에 불과했으나 2015년에는 30.2명으로 347%나 급증했다. 같은 기간 재산범죄는 10만명당 168명에서 563명으로 234%, 교통범죄는 179명에서 546명으로 204% 증가했다. 노인 범죄 유형이 점점 흉포화 하고 있다는 것이다. 





 고령자 범죄 증가는 개별적인 사안일수도 있겠으나 여성 범죄자의 증가나 흉포화로 보았을때 사회안정만을 재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강하다. 사회 안정망이 약하다는 것은 노인들의 성향에 대해서 대비할 수 있는 준비가 안되어 있다는 결론이 내려지기 때문이다. 

 고령 1인가구의 증가로 인해서 고립될 것이 뻔한 노인들에 대한 경제적인 문제, 심리적 안정 등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국내 카드사 현황 및 전망[여신금융협회]




 IMF구제금융의 최대 수혜는 치킨과 카드사가 아닐까 생각해본 적이 있다. 1997년 이전에 카드 사용은 그렇게 높지 않았다. 대부분이 현금을 지갑에 넣고 다닐때라서 신용카드로 결재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았고, 장사하는 곳에서도 선호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제는 생수 한병도 카드로 결재하고 있는 상황이다. 






https://www.crefia.or.kr/portal/board/board/boardDataDetail.do



신용카드사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카드 수수료에 대해서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IMF 시기와 비교한다면 카드 사용금액이 폭증한 면을 봐서는 억울할 것은 별로 없을듯하다. 새로운 수익원 발굴이나 기업의 이익 창출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하는 것이지, 고리대업에 목숨거는 약탈적 방식은 안된다. 





전체 카드대출(현금서비스+카드론) 중 카드론이 차지하는 비중은 43%까지 증가 할 전망이다. 시중금리가 낲아지고 있음에도 카드 대출은 여전히 중금리에서 고금리 정책으로 수익이 늘어나는 추세다. 


전년말 대비 카드 자산은 2천억원 증가한 반면 할부금융자산은 1.1조원 증가했다. 





17년 상반기 대손준비금 반영 후 당기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절반수준으로 감소했고 ROA 및 ROE는 각각 전년대비 0.2%p와 0.7%p씩 감소




향후 미국 기준금리가 0.25%씩 3차례에 걸쳐 인상된다면 18년말 기준금리는 2.25%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고 이로 인해 국내 기준금리도 상승 가능성 높음






현재 카드구매실적 대비 간편결제서비스 이용실적은 2.7% 수준에 불과해 카드사와 결제매체 경쟁은 단기적으로는 제한적





참고자료 국내 카드시장의 현황과 전망(여신금융연구소) 2018







주식회사의 배당금? 얼마나??



 회사의 이익은 어디로 가야 하나? 이익이 전체 주주에게만 가는 것이 옳은가? 화두가 되고 있는 주제에 대해서 논란은 계속되고 있고, 회사를 좌지우지하는 주주들의 주장은 커져만 가고 있다. 작년 한해동안 거둔 실적에 대해 배당금 규모가 처음으로 30조원이 넘어설것으로 보인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달 26일까지 2017년 실적에 대한 결산배당 계획을 공시한 739개 상장사의 현금 배당금 총액(중간배당 포함)은 24조212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들 기업의 전년 배당금 총액(19조2489억원)보다 25.8% 늘어났다.






 국내 주식시장 시총 1위인 삼성전자를 비롯해 SK하이닉스, 네이버, KB금융 등 시가총액 상위 기업이 배당금 규모를 대폭 늘렸다. 배당 계획을 내놓지 않은 300여 개 기업의 배당금을 합하면 2017년 상장사의 배당금이 3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내 상장사의 배당금 규모는 2012년 14조2767억원이던 배당금 총액은 2016년 24조2514억원으로 4년 만에 70% 가까이 불어났다. 앞으로 기업 실적에 대비한 배당금은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원문 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3900721





다이어리 속지 리필용(양지사 vs 일반노트형)



 매년 새해가 되면 구입하게 되는 다이어리. 이번해에는 건너뛰었습니다. 매년 늘어나는 다이어리가 쌓여서 산을 이루고 있어서 그동안 케이스로만 있던 다이어리 케이스를 꺼내서 쓰기로 했습니다. 리필용 다이어리 속지만 구입하면 되는데 마음에 드는 것도 없고, 돈이 되지 않는지 일반 문구점에서는 안팔더라구요.



그래서 배송비를 감안하고 주문했습니다. 1년치 정도로 주문했는데 직접보고 사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준문해서 비교해보기로 했습니다. 일단 다이어리가 가장 작은 사이즈인 ceo형이라서 가장 저렴할 줄 알았는데 가격은 비슷하네요. 



다이어리 리필 내지 속지(양지사)와 일반 유선노트로 구분해서 구매했습니다. 가격은 일반 유선노트가 저렴하네요. 비싸면 비싼 이유가 있겠다 싶어서 같이 주문했는데, 결론적으로 일반 유선노트로 모두 주문할 것인데... 하고 후회했습니다. 





 양지 시스템리필은 간격이 좁게 되어 있습니다. 눈에 대한 피로도는 양지사 리필이 더 나을지 모르겠지만, 다이어리를 뚫어져라 볼일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빛반사만 일반적으로 차단된다면 하고 있는데 일반 유선노트도 괜찮습니다. 






왼쪽과 오른쪽 비교가 되시지요. 줄간격이 넓은 쪽이 일반 유선노트, 양지사가 좁은 편입니다. 색감은 양지사가 쫌 나아보이지요. 



 가격은 30%정도 차이가 나는듯 하네요. 몇백원 차이지만 1년치를 한꺼번에 주문한다면 꽤 되겠지요. 다이어리 아껴서 집살 것도 아니지만, 비교해서 구입할 것은 구입하는게 좋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