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한국 사회지표 (통계청)



2015 보도자료 통계표(최종).xls





통계청이 발표한 ‘2015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2015년 5062만 명인 우리나라 총인구는 2030년 5216만 명으로 최고점을 기록하고 감소하게 된다고 한다. 인구에서 또하나의 특징은 급격한 고령화다. 2015년 65세이상 인구 비중은 13.1%를 기록했다. 2017년에 이르면 노인인구 비중이 유소년 인구비중을 앞지르게 된다.  







2060년에는 길거리에 돌아다니는 사람 10명중 4명은 65세 노인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노인인구에 대해서 높아지는 복지비용도 고려해야 할 것이고 세수가 부족한 부분도 고민해야 할 시점이 도래한 것이다. 







 수입은 찔끔늘었지만 소비도 줄여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인해 당장의 소비를 늘리기를 부담스러워하는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5년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가구 소득은 437만3000원으로 2009년이후 증가폭이 가장 작았다. 주거에 대한 부담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 줄어들면서 나눔에 대해서도 줄이는 현상이 나타났다. 물론 세액공제로 바뀌는 원인도 무시는 못하겠지만, 전반적으로 경제상황이 불안한 심리로 인해서 나눔에 인색하게 되었다는 것이 분석결과다. 2015년 국내 학생 1인당 사교육비는 월 24만원 정도 평균비용이 들었다고 한다.








원문 출처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52215


2015 보도자료 통계표(최종).xls
0.81MB




중고폰 팔려면 많이 돌아다녀야...



 단통폰 시행 이후 중고폰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새로운 폰으로 바꾼다는 것이 비용이 크고 새로운 폰이 놀라운 기능들이 탑재되어 있지 않아서 중고폰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졌습니다. 또한 분리요금제로 할인을 받을 수 있어서 중고폰 선호는 더욱 높아지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기존에 쓰던 구형 폰을 어떻게 처리하느냐도 문제인데요. 중고폰을 높은 가격에 팔기 위해서는 발품을 팔아야 한다는 군요. 







중고폰 매입 가격을 살펴보면 갤럭시 s6가 30만원 근처에서 형성되어 있고 lg의 g4가 35만원 근처에서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고 하네요. 신규폰을 기다리고 있는 분들도 있지만 기능에 차이가 많이 안난다면 비싸게 살필요는 없습니다. 

 테러방지법이 통과된 이후에는 아이폰의 몸값이 더 올라갔다고 하네요. 아무래도 수요가 몰리다보니 이러한 현상들이 나타나는 것이겠지요. 





 같은 기종의 스마트폰인데 중고가격이 철차만별이네요. 얼마나 많이 돌아다니느냐에 따라서 가격이 달라진다는 것이 신기할 뿐이네요. 그러면 중고폰을 살때도 발품을 많이 팔아야 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온라인 등을 통한 거래는 안전을 담보할 수 없고, 요금제 할인등의 문제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하네요. 





 중고 스마트 폰으로 팔게 될 경우는 기기를 초기화하여 내보내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합니다. 4번에서 5번 정도는 해야 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스마트 폰에 온갖 정보들이 다 들어 있는데... 복구해서 열어보기라도 한다면... 




 2g폰의 경우는 우체국에서 매입을 하고 있는데, 작동 여부에 상관없이 기기당 1000원이라고 합니다. 물론 배터리는 있어야 하고요. 집에 놀고 있는 2g폰이 있으신 분들은 가까운 우체국에 한번 다녀오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출처 mbc 뉴스데스크





라면시장의 변화



라면시장의 변화가 거세다고 하네요. 몇년전에 맑은 국물로 인기를 끌었던 꼬꼬면 이후의 변화라고 하네요. 마트에 갔다가 사려고 했던 진짬뽕만 없어서 당황했습니다. 라면은 언제나 신라면만을 아무생각없이 고르던 것에서 짬뽕면을 선택하게 되었다는 것도 놀랍네요.





우리나라 라면 시장규모가 2조원이 넘는다는데 놀랍습니다. 우와... 대단한 라면사랑의 나라라는 생각이 드네요. 매출 규모 1000억원되는 회사가 별로 없는데, 하나의 브랜드에서만 1000원이 넘게 팔리는 라면이 있더라구요. 





라면 시장은 원래 삼양이 압도적으로 지배했던 시장이었습니다. 닭고기 육수에서 소고기 육수로 국민들의 영양을 위해서 변화를 주었다가 식양청의 우지 파동 사건으로 시장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그 뒤 라면 시장은 판도가 바뀌어서 지금까지 지속되었습니다. 





 전체 시장에서 작년 12월 판매되는 규모를 보면 짬뽕면이 확 치고 나온 모습입니다. 진짬뽕이 전체 규모에서 15%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굵은 면발로 이후 시장의 변화를 주도했습니다. 다른 회사들도 앞다투어 굵은 면발의 면을 내놨고 지속적으로 판매가 이뤄지고 있다고 합니다. 예전에 신라면은 마트에서 가장 좋은 자리에 있었는데 요즘은 변화가 생겨서 굵은 면에 자리를 내주었습니다. 




 건강을 생각해서 나트륨 함량도 줄어서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라면은 하나만 먹어도 1일 섭취량을 거의 채운다고 할 정도인데, 맛을 살리면서 조금씩 줄여나가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 라면에 또다시 단무지나 김치를 얹어서 먹어야 하는 한국인의 입맛은 어디를 내놔도 최고인것 같습니다. 





60%이상 라면 시장을 주도했던 농심이 진짬뽕 출시 이후에 점유율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오뚜기는 점유율이 점점 올라가고 있는 것이 보이고 있습니다. 좀더 치열한 경쟁으로 가격과 건강을 위한 식품이 나오면 좋겠지요. 





 한끼 식사를 대체할 수 있는 라면이 있어서 혼자서 식사를 할 부담이 줄어드는 것도 사실입니다. 앞으로 얼마나 더 1위 자리를 지속해 나갈지 궁금해지는 시간입니다. 



참고 mbc[이브닝 이슈] '짬뽕맛'의 습격, 라면 업계 들썩













경기도 출산장려금 및 양육비 시군별 현황(2016)




교육부와 시도교육청간에 누리과정 예산의 갈등이 아직도 해결책이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해결을 위해서 나름의 노력을 하고 있다고 하지만, 그냥 벽을 보고 얘기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서로간에 만남이 있다면 대화를 해야 하는데, 그냥 주장만 받아들이라고 하고 있으니 4살짜리들이 말다툼을 해도 저것보다는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2016년도 출산장려금이 줄어든 곳이 많다고 하는데,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경기도의 각 시군별 현황이 올라왔습니다. 광명시의 경우 이번해부터 둘째아도 지원대상에 들었다고 하네요. 




출산장려금

 기초 단체별로 해당 조례에 의해서 둘째아이부터 지원하는 곳도 있고 셋째아이부터 지원하는 곳이 나뉘고 있습니다. 금액도 천차만별로 아이가 많은 곳은 적게 주고 아이가 적은 곳은 많이 주는 것은 기본이지만, 재정여력에 따라서 양육비까지 지급하는 곳이 있네요. 


☞ 둘째아 이상 지급 : 성남시, 안양시, 남양주시, 평택시, 시흥시, 광명시, 군포시, 김포시(첫째아이부터 지급), 구리시, 양주시, 포천시, 오산시, 의왕시, 여주시, 동두천시, 양평군, 과천시, 가평군, 연천군 (19개 시·군)


 셋째아 이상 지급 : 수원시, 고양시, 부천시, 용인시, 안산시, 의정부, 화성시, 파주시, 광주시, 이천시, 안성시, 하남시 (12개 시·군)



양육비

 성남시, 안산시, 의정부시, 광주시, 이천시, 안성시는 매월 양육비를 지급하고 있네요. 








시·군별 출산장려금 및 양육비 현황 ('16.1월 현재)


시군명

구분

지원대상 및 금액(단위:천원)

지원기간

지급기준

근거

둘째아

셋째아

넷째아

다섯째이상

수원시

출산지원금

 

1,000

2,000

2,000

1

출산일 기준 180일 이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부모 또는 보호자

수원시
 
자녀출산·입양지원금
 
지급조례

성남시

출산장려금

300

1,000

2,000

3,000

1

출산일 기준 180일 이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성남시
 
출산장려금 지원등에
 
관한조례

양육수당

 

100

100

100

매월지급
(0~7
)

신청일 현재 성남시 거주

지침

고양시

출산장려금

 

500

500

500

1

출산일 이전부터 고양시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세번째 이상 출생아 가정

고양시
 
출산장려 지원에
 
관한 조례

부천시

출산축하금

 

500

500

500

1

출산일 기준 부 또는 모 180일 이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부천시
 
출산장려금 지원에
 
관한 조례

용인시

출산장려금

 

1,000

2,000

3,000

1

출생일 기준으로 부모 중 한명이 180(6개월) 이상 관내 거주

용인시
 
출산장려금 지원에
 
관한 조례

안산시

출산장려금

 

1,000

1,000

1,000

1

출생일을 기준으로 부 또는 모가 관내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안산시
 
다자녀 가정 지원에
 
관한 조례

양육비

 

30

30

30

매월지급
0~5
(
취학전까지)

신청일 현재 부 또는 모와 함께 관내에 주민등록을 두고 1년 이상 계속 거주

안양시

출산축하금

300

1,000

1,000

1,000

1

부모가 관내에 주민등록을 두고 6개월 이상 거주, 거주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출생일부터 6개월 이상 거주

안양시
 
출산장려금 지원에
 
관한 조례

남양주시

출산장려금

300

1,000

1,000

1,000

1

출생일을 기준으로 부 또는 모가 180일 이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

남양주시
 
출산장려금
 
지급 조례

의정부

출산장려금

 

500

500

500

1

출생일 기준 부 또는 모가 의정부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셋째이상의 자녀(거주지 제한 없음)

의정부시
 
출산장려 등 지원에
 
관한 조례

키움수당
(
양육비)

 

50

50

50

매월지급
(12
개월까지)

평택시

출산장려금

500

2,000

2,000

2,000

1

출생일 및 입양일 기준 1년 전부터 신청일 현재까지 부모 중 1명이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출생일 또는 입양일 기준 1년 미만일 경우 1 6개월이 경과한 날 신청 가능)

평택시
 
출산장려·지원금
 
지원 조례

시흥시

출산장려금

200

500

2,000

2,000

1

출생일 기준 부 또는 모가 180일 이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거주

시흥시
 
출산장려 지원에
 
관한 조례

화성시

출산지원금

 

1,000

2,000

3,000

1

신생아 출생일 기준으로 부 또는 모가 180일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

화성시
 
신생아 출산지원에
 
관한 조례

광명시

출산장려금

300

500

1,000

1,000

1

부 또는 모가 출생일 이전부터 현재까지 주민등록상 광명시에 주민등록 되어 있고 실제거주

광명시
 
출산장려금 지원에
 
관한 조례

파주시

출산장려금

 

800

800

800

1

출생일 기준으로 셋째 이후 출산자녀와 함께 실제 거주하고,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자녀의 부 또는 모(거주지 제한 없음)

파주시
 
출산장려금
 
지원 조례

군포시

출산장려금

500

1,500

1,500

1,500

1

출생일로부터 6개월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해야하며, 거주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 출생일로부터 계속하여 6개월 이상 거주

군포시
 
출산장려 지원에
 
관한 조례

광주시

출산장려금

 

1,000

1,000

1,000

1

출산일 기준 6개월 이전부터 부 또는 모가 광주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출생신고 후 60일 이내 신청

광주시
 
출산장려금 지원에
 
관한 조례

양육비

 

209

209

209

매월지급
(
출생월~12개월)

주민등록상 부모와 자녀 3명이 모두 광주시에 주소를 두고 거주(보육료, 양육수당과 이중지원 가능)

지침

김포시

출산축하금

(첫째아)

1,000

1,000

1,000

1

신생아의 출생일을 기준으로 180일 이전부터 신청일 현재까지 김포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한 보호자로 하며 대상자녀는 주민등록상 동일 세대원이어야 함(2015 8 1일 이후 출생한 신생아부터 적용함)

김포시
 
출산장려지원
등에 관한 조례

50

 

이천시

출산축하금

 

1,000

2,000

3,000

1

출산일 기준 부 또는 모가 6개월 또는 출산 후 1년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이천시
 
출산축하금 지급에
 
관한 조례

양육비

 

50

50

50

매월지급
(
1~6)

신청일 기준 관내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하는 부 또는 모

이천시
 
다자녀가정 양육비
 
지원에 관한 조례

구리시

출산지원금

200

500

500

500

1

출산일 기준 부 또는 모가 관내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구리시
 
신생아 출산 지원에
 
관한 조례

(거주기간 제한 없음)

 

양주시

출산장려금

200

700

700

700

1

출생일 기준 부 또는 모가 관내에 주민등록을 두고 1개월 이상 거주하고, 출생신고일로부터 180일 이내 신청

양주시
 
출산장려금 등 지원에
 
관한 조례

안성시

출산축하금

 

500

500

500

1

출생등록시 보호자와 함께 시에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셋째이상 자녀

안성시
 
출산장려 및 양육지원에
 
관한 조례

양육수당

 

100

100

100

매월지급
(12
개월)

출생등록시 보호자와 함께 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셋째이상자녀, 또는 보호자가 생후1년 미만의 자녀와 전입시 자녀가 생후 1년이 되는 달까지 지원

포천시

출산장려금

300

1,000

3,000

3,000

1

출생일로부터 6개월 이상 계속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부모

포천시
 
출산장려
 
지원 조례

오산시

출산장려금

500

1,000

3,000

3,000

1

출생입양일 기준 부 또는 모가 관내에 주민등록을 두고 6개월이상 거주

오산시
 
출산·입양 장려지원에
 
관한 조례

하남시

출산장려금

 

1,000

2,000

2,000

1

출산일 기준 부 또는 모가 관내에 6개월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출생신고를한 경우 지원

하남시
 
출산장려금 지원에
 
관한 조례

의왕시

출산장려금

500

1,000

1,000

1,000

1

출생일 기준 부 또는 모가 6개월 이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6개월 미만인 경우 6개월 경과하였을 경우 지원

의왕시
 
출산장려 지원에
 
관한 조례

여주시

출산장려금

100

2,000

5,000

7,000

분할지급

출생입양일 기준 180일 이전부터 계속하여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하는 부모

여주시
 
출산장려금지원에
 
관한 조례

(2회분할)

(4회분할)

(5회분할)

 

 

 

동두천시

출산장려금

250

1,000

1,000

1,000

1

출생일 전 3개월부터 신청일 현재까지 동두천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계속 거주하는 부 또는 모

동두천시
 
출산장려금
 
지원조례

양평군

출산장려금

3,000

5,000

7,000

10,000

분할지급

출산일 현재 12개월 이상 관내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부모, 출산일 현재 12개월 미만 거주 시 12개월 경과 후 지원

양평군
 
출산장려금
 
지원 조례

(3회분할)

(4회분할)

(5회분할)

(5회분할)

여섯째아이상

 

 

 

 

20,000

 

 

 

 

(5회분할)

과천시

출산장려금

500

1,000

1,000

1,000

1

부 또는 모 관내 거주 180일 이상 또는 출생일로부터 180일 이상 거주

과천시
 
출산장려금 지원에
 
관한 조례

가평군

출산축하금

2,000

5,000

10,000

10,000

분할지급

출산입양일 기준 부 또는 모가 6개월 이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가평군
자녀출산
입양
축하금 지급 조례

(2회분할)

(5회분할)

(5회분할)

(5회분할)

 

 

 

 

연천군

출산축하금

2,000

5,000

10,000

10,000

분할지급

부 또는 모 관내 거주 180일 이상, 180일 미만인 경우 180일 경과 시 지원

연천군
 
출생아 양육비등
 
지원에 관한 조례

(2회분할)

(5회분할)

(5회분할)

(5회분할)

 

 

 

 

 








설 열차표 예매 일정



민족의 대 명절이라고 할 수 있는 설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번 구정 연휴는 2월 6일부터 2월 10일까지 5일간입니다. 명절이 긴만큼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분들도 많지만, 아직은 고향에 내려가기 위해서 준비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장기간의 운전에 대비하는 분들도 있지만, 편안한 귀향을 위해서 기차 예매를 준비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예전에는 창구에서 예매를 위해서 밤을 세워 기다린 분들도 많았지만, 이제는 인터넷 예매가 활성화되었네요. 일정을 확인해서 조금은 편하게 고향으로 내려가야 겠습니다. 





 설 열차표 예매는 다음 주 19일 20일, 2일간 진행합니다. 이틀간 예매 대상 일자는 설 연휴 시작인 2월 5일 금요일부터 설 연휴 마지막 날인 2월 10일까지 6일치가 대상입니다. 

 1월 19일에는 경부선과 충북선, 동해선 등의 예매를 할 수 있고, 1월 20일에는 호남선과 전라선, 장항선, 중앙선, 태백.영동선 이용객들이 예매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창구를 이용하는 방법과 기차역 창구 예매 방법 두가지가 있습니다. 인터넷 예매 시작 시간은 새벽 6시부터입니다. 코레일은 승차권 불법유통과 부당한 확보 방지를 위해 최대 예매는 6장까지고 1인당 최대 12장까지 제한하고 있다고 합니다. 



 직접 움직이는 기차역이나 대리점을 이용하는 분들은 오전 9시부터 11시까지 2시간 동안 예매 가능합니다. 전체 승차권 가운데 인터넷 예매는 70%, 역 창구와 판매 대리점은 30%가 배정되어 있습니다. 




 인터넷으로 예약했다고 끝난것이 아닙니다. 결재를 해야 하는데, 결재일은 21일 오전 10시부터 24일 자정까지 진행되는데, 이때 반드시 결재가 되어야 합니다. 결재하지 않은 예약은 자동으로 취소가 됩니다. 


 19일과 20일 예매를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한 경우 취소된 표에 대해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일단 최대한 예매 수량까지 확보하고 결재할때는 필요량만 하는 경우가 있어서 21일부터 승차권 구매가 가능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