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재산형성저축(재형저축)

 2013년 3월 18년만에 근로자재산형성저축이란 이름으로 재형저축이 부활했다. 그런데 이름만 재형저축이고, 장기주택마련저축의 아류작이 훨씬 어울린다. 근로자의 장기간 저축을 유도하기 위해서 세제혜택을 제공하겠다는 의지로 정부에서 만들어낸 금융상품이다.

 

 

 

 

재형저축의 실익

 

 초반의 가입현황에 비해서 점점 힘이 빠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 민주당 이낙연 의원이 납입금액에 대해서 비과세 혜택을 가지고 있는 재형저축에 소득공제를 추진하고 있다. 앞에서 말했듯 장기주택마련저축의 짝퉁이듯이, 장마는 소득공제와 비과세가 모두 적용되었던 작품이다. 그러나 재형저축에서는 비과세만 적용되다 보니 실질적으로 느낌이 안오고 있어서 소득공제가 추진되었다.

 

 

 과연 소득공제 가능할까?

 

생각으로는 실현되지 않을 것으로 본다. 일단 세수부족으로 여기저기서 그물망식으로 세금을 찾아대고 있는 박근헤 정부에서는 힘들것으로 본다.

실행된다고 하더라도 장기주택마련저축과 같은 납입금액의 40%정도가 될 것인데, 도로 장마의 모습은 재형저축의 원래 취지와 맞지 않기 때문이다.

 

 세제개편에서 누락되었던 장기펀드세액공제가 훨씬 실효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법안은 발의했다고 하니 지켜볼만 하다

 

 

재형저축의 활용

 

 현재 높은 금리가 3% 초반으로 형성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4%이상의 금리를 제공하는 재형저축은 가입과 활용이 중요하다. 물론 3년 동안 보장하는 금리로 추후에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금융상품의 기본이 항상 그렇듯이 목적과 활용이 가장 중요하다.  7년 뒤에 있을 목적에 맞게 설정을 하고, 금액을 분산하고, 은행을 분산해서, 저축을 시작해야 한다.

 

남들보다 발빠르게 1% 이상의 수익을 내는 것이 재테크 성공을 지름길이라 생각될 수 있다.

 

 




재형저축 소득공제 400만원 추진[매경]



18년만에 부활한 재형저축이 찬밥신세로 전락한 가운데 최고 400만원까지 소득공제를 해주는 법안이 추진되고 있다. 

27일 국회와 은행권에 따르면 기획재정위 소속 이낙연 의원은 재형저축 납입금액에 대해 최고 400만원까지 소득공제 혜택을 주는 법안을 28일 대표 발의한다. 

이낙연 민주통합당의원은 "재형저축의 매력이 당초 기대보다 못해 갈수록 외면 받고 있다"며 "연간 400만원까지 소득공제 혜택을 주는 입법안에 대한 모든 절차를 마치고 28일 오전 9시께 발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원문 기사 보러 가기






 

 

 

 

 

 

 

2011년도 연구분야별 주요 연구결과 요약집

 

 

16.2011년도 연구분야별 주요 연구결과 요약집.pdf

 

 

연금제도

1 인구고령화 및 소득양극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후보장정책의 추진방향 연구▪3
2 공적연금 급여형평성 분석 및 연계제도 평가 ▪8
3 자영자의 국민연금가입 제고방안 ▪28
4 혼인력 변화와 국민연금 급여제도의 발전방향 ▪36
5 크레딧 제도를 통한 국민연금 가입기간 확대방안 ▪47
6 국민연금의 일시금제도 개선 방안 및 운영방향 검토 ▪64
7 남북한 통일과 노후소득보장제도 운영의 기본 방향 ▪77
8 국민연금 급여산식 개선방안 연구 ▪82

 

거시경제

9 거시경제계량모형의 재구축(Ⅱ) - 장기구조모형 ▪89
10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국내 잠재성장률 추정 및 전망 ▪105

 


재정추계

11 2011 국민연금 가입자의 특성과 장기전망▪121
12 2011 국민연금 가입기간별 가입자 장기전망 ▪129
13 2011 국민연금 보험료수입 및 신규수급자 급여액 장기전망 ▪141
14 2011 국민연금 수급자 장기전망 ▪146
15 국민연금 재정평가 방법론 연구 ▪151

 

패널조사

16 우리나라 중 ․ 고령자의 노후준비 실태와 기대 ▪159
- 제3차(2010년도) 국민 노후보장패널 부가조사 분석보고서 -

 


기금정책

17 국민연금기금의 인플레이션 헤지투자방안 ▪171
18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와 국민연금기금의 운용방안 ▪181
19 연기금 투자정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192
20 비유동자산의 위험-수익특성에 관한 연구 ▪207

 

기금평가

 21 국민연금기금 성과평가지표 예측성에 관한 연구 ▪219
22 국민연금기금 사회간접자본투자의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230

 

 

 

16.2011년도 연구분야별 주요 연구결과 요약집.pdf

16.2011년도 연구분야별 주요 연구결과 요약집.pdf
3.62MB

 

 

 

 

견적상담은 무료로 진행됩니다. 많은 이용바랍니다.


 

흡연구역 - 흡연부스 설치로 


  



국민건강증진법[시행2013.6.8.] [법률 제10781,2011.6.7., 일부개정] 시행으로 이동식 흡연부스 또는 흡연실에서 흡연이 가능합니다.

1. 2013 12 31일까지: 150㎡ 이상인 영업소

2. 2014 1 1일부터 2014 12 31일까지: 100㎡ 이상인 영업소

3. 2015 1 1일부: 모든 영업소



관련기사 검색하기




 2013년 전면적으로 시행되는 금연법의 목적은 담배를 못피게 하려는것이 아니라,

 

비흡연인구에 대한 간접흡연으로 인한 피해를 차단하여 국민의 건강을 증진키기 위한 조치입니다.

 

입법취지가 나쁘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에 따른 피해에 대해서는 대책이 없다는 것입니다. 


자영업자의 위기라고 여기저기 얘기가 나오고 있는데 흡연고객이 많은 피시방과 음식점등을 운영하시는 사장님들은 너무 강한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흡연고객이 주고객인 업소에서는 매출이 반토막


대책을 세우려하니 막막하기만 합니다. 


부담되는 흡연부스 설치가격 !...   이중고로 고민중인 업주님들...

 

BK 흡연부스가 여러분의 고민을 시원하게 해결해 드리겠습니다.




 

bk흡연부스는 흡연부스를 제작설치 전문 기업으로

 

합리적인 흡연부스  설치가격,심플한 디자인의 흡연부스, 소방필증 필요없는 흡연부스를 공급하여

 

최소한의 비용으로 매출향상에 기여하는 흡연부스 전문기업 입니다.





흡연부스 설치시 주의사항

 

 흡연부스 설치는 의무사항이 아닙니다...금액대비 효용을 꼼꼼히 상담후 결정하세요.

 

흡연실과 흡연부스를 정확히 구분하세요...

 

흡연실은 내부구조 변경으로 준불연재 이상의 자재를 사용 소방필증 재교부가 필요하지만, 


흡연부스는 설치시 부스내에는 환기시설과 흡연시설만 설치하셔야 됩니다.

 

참고로 노래방,당구장, 단란주점,유흥주점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실용적인 흡연부스,저렴한 흡연부스 설치가격을 원하신다면 BK 흡연부스로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견적상담은 무료로 진행됩니다. 많은 이용바랍니다.



  




비은행권 가계대출, 은행보다 많아
http://media.daum.net/v/20121102103705669

출처 :  [미디어다음] 기업산업 
글쓴이 : YTN 원글보기
메모 :

 

중국의 동부 지방에 새로 이사 온 장사꾼이 있었다.

그의 눈에는 무엇 하나 신기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그런데 그가 아무리 보아도 도무지 이해하지 못할 게 하나 있었다.

그 지방 농부들이 대나무를 키우는 방법이었다.

 

농부들이 심은 대나무는 다른 곳과 달리 제대로 자라지 않았다.

장사꾼이 농부들에게 어째서 그런 대나무를 심는지 물었지만,

그들은 빙긋이 웃기만 할 뿐 별다른 설명을 하지 않았다.

 

한 해가 지나도 대순은 돋지 않았다. 그 다음 해도 마찬가지 였다.

장사꾼은 그것을 보면서 농부들의 어리석음을 탓했다.

대나무가 제대로 자랄 수 없는 땅이거나,

아니면 대나무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고 그는 생각했다.

4년이 되었지만 대나무는 여전히 순을 내지 않았다.

그러나 농부들은 그것에 신경도 쓰지 않고 자신들이 할 일을 할 뿐이었다.

 

그런데 5년째가 되자 대나무 밭에서 갑자기 죽순이 돋기 시작했다.

그것도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대나무들은 마치 마술에 걸린 것 처럼 하루에 한자도 넘게 자라기 시작했다.

6주가 채 되기도 전에 무려 15미터 이상이 자라나서,

빽빽한 숲을 이룰 정도가 되었다.

농부들은 그제야 칼을 꺼내 들고서 대나무를 베어 냈다.

장사꾼은 그 광경을 도무지 믿을 수 없었다.

그가 궁금해서 묻자, 비로소 한 노인이 대답했다.

 

"자네는 잘 모르겠소만, '모소'라는 이 대나무는 순을 내기전에

먼저 뿌리가 땅속으로 멀리 뻗어 나간다네, 일단 순이 돋으면, 길게

뻗은 그 뿌리들로부터 엄청난 자양분을 얻게 되어 순식간에

키가 자라는 것일세. 5년이라는 기간은 말하자면 뿌리를

내리는 준비 기간이었던 셈이라고 할 수 있지"

 

=====================================================================

 

그럼 모죽이 자라는데

6주가 걸린걸까요?

아니면 5년 6주가 걸린걸까요?

우리가 공부하고 배우고 사람을 만나고 경험을 쌓아가는 것은

모죽을 정성스럽게 가꾸는 중국의 농부와 무엇이 다를까요?

중국의 농부는 5년후의 결과를 미리 알고 있었던 것처럼,

우리도 5년후에 자신의 미래에대한 밑그림에 대한 확신이 있고

그걸 위해서 이렇게 한순간한순간을 최선을 다하는 것이 아닐런지...

 

출처 : 사진, 행복 그리고 나
글쓴이 : 여유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