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업인]농업재해보험 확대


 농업인 부담경감을 위해 보험료의 일부를 지원해주는 방안이 추진된다. 보험대상인 농작물·가축을 기르는 농업인이 지원대상이며 보험료의 50% 국고를 통해 지원하게 된다.

가까운 지역(품목)농협 등을 통해 가입하면 이용이 가능하다.


문의전화: 농협손해보험 콜센터(1644-0090)




[농어업인]농지연금 부담 경감

고령농업인의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보장하기 위해소유농지를 담보로 생활안정자금을 매월 지급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가입자격은  65 이상 농업인, 영농경력 5 이상, 소유농지 총면적 3만㎡이하로, 가입기간 동안 매월 연금이 지급된다.(5, 10, 15, 종신형)

신청방법은 농지연금 홈페이지(www.fplove.or.kr) 참조해 가입자 주소지 한국농어촌공사에 신청하면 된다.

문의전화: 농지연금 콜센터(1577-7770)





[농어업인]밭직불금 지급 확대

농가소득 안정  주요 작물의 자급률 제고를 위해 지원대상 품목 재배시 직불금을 확대 지급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지원대상은 농업경영체로 등록한 자로서 밭농업보조금 지급대상 농지에서 밭농업에 종사하는 농업인·영농조합법인·농업회사법인이다.

밭에 재배하는 26 작물만 지원해오던 것을 내년부터  재배 26 작물과 겨울철 논에 이모작 재배하는 사료·식량작물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신청방법은 농지 소재지 ··동사무소에 신청하면 된다.

문의전화: 직불제 상담콜센터(1670-8002)





[농어업인]조건불리지역 수산직불금 전면 시행

생산성  정주여건이 불리한 취약어촌 어업인의 소득보전과 어촌 기능 유지를 위해 직불금을 지급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지원대상은 육지로부터 8km이상 떨어진 (제주 본도제외) 어업인이다. 어가당 49만원의 직불금(지원금) 지급된다.

신청방법은 섬지역 어업인임을 증명하는 서류(어업인 신고증, 허가증 또는 면허증 ) 동사무소에 제출하면 된다.

문의전화: 해양수산부 소득복지과(044-200-5466)






 

 

 

[소상공인·중소기업] 2014국가예산 60선



소상공인과 중고기업 육성을 위해서 자금과 인력부분에 대한 지원에 대한 예산안을 편성하였다.




[소상공인·중소기업]중소기업 현장 훈련 지원 

 인력양성에 대한 중요성은 인식하지만 사업장 여건 등으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기업을 지원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지원대상은 인력양성을 원하는 중견·중소기업이며 인력양성을 위한 컨설팅  인적자원개발 종합서비스가 제공된다.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한국산업인력공단(HRD-net) ·오프라인으로 신청이 가능하다.


문의전화 산업인력공단 고객센터(1577-9997)





[소상공인·중소기업소기업 정책자금 지원


 기술·사업성이 우수하나, 담보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시설  운전자금을 융자를 통해 지원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지원대상은 중소기업기본법에 의한 중소기업이며 업체당 융자한도 50억원까지(수도권은 45억원), 매출액의 150% 이내로 지원이 가능하다.

이용을 원하는 기업은 중소기업진흥공단을 통해 상담  접수하거나 온라인(www.sbc.or.kr)  방문(31 지역본부) 통해 접수가 가능하다.


문의전화: 중소기업진흥공단 기업금융처(02-769-6700)



[소상공인·중소기업소상공 정책자금 지원


 소상공인의 성공창업과 경영혁신을 위해 정책자금 융자 지원 사업이 추진된다. 지원대상은 제조업, 건설업, 운송업, 광업(상시 종업원 10 미만), ·소매업  각종 서비스업(상시 종업원 5 미만)이다.

소상공인자금 지원과 관련된 사항은 소상공인진흥원 소상공인지원센터(1588-5302) 통해 상담·신청  취급은행에서 대출이 가능하고, 소상공인특화자금은 중소기업진흥공단 31 지역본()부를 통해 신청·접수  대출이 가능하다.


문의전화: 중소기업진흥공단 기업금융처(02-769-6700)





[소상공인·중소기업통시장 장보기 스마트앱(App) 보급


 스마트앱(App) 활용해 전통시장 상점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배송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전통시장 상인과 전통시장에서 물품을 구매 하고자 하는 소비자에게 고객관리, 한줄 광고, 실시간 상품 할인정보 등이 제공될 예정이다.

시장(상인회 ) 시장경영진흥원으로 상담·신청하면 되고, 소비자들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전통시장 장보기) 다운로드해 물품 구매  배송신청을 하면 된다.


문의전화: 시장경영진흥원(02-2174-4352www.sijang.or.kr





[소상공인·중소기업골목슈퍼 현대(나들가게) 지원


 골목슈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경영교육, 유통·물류 시스템  홍보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지원대상은 골목슈퍼 2,500 점주(점포당 85만원 수준 지원)이며 ·발주  재고관리를 위한 POS 프로그램 보급, 점주 역량강화 교육, 매출개선을 위한 컨설팅 제공, ‘e-나들가게 표식(엠블럼) 설치 등이 지원된다.

지원을 원하는 점주는 소상공인진흥원(www.seda.or.kr) 통해 접수하면 된다.


문의전화: 소상공인진흥원(042-363-7681~4)










 

 


[
창업·창직]1 창조기업 비즈니스센터 확대


 1 창조기업에게 사무공간을 제공하고 세무·법률, 마케팅 등에 대한 전문가 자문 등을 지원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지원대상은 창업예정자를 포함한 1 창조기업이다.

비즈니스 공간(사무, 회의실, 상담실, 휴게실 ) 지원은 올해 46개소에서 내년 61개소로 늘어나며, 1인창조기업패밀리카드를 발급받아 전국 센터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문의전화: 중소기업 기술정보진흥원(042-481-4553)





[창업·창직]창업선도대학을 활용한 창업 지원


 권역별로 우수한 창업인프라를 갖춘 대학을 창업선도대학으로 지정해, 창업지원 거점기관으로 육성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지원대상은 예비창업자  창업 1 이내 기업으로, 창업지원 전단계(창업교육  유망창업자 발굴  창업아이템 사업화  초기성장지원) 패키지 형식으로 지원한다.

이용하고자 하는 대상은 창업정보관리시스템(www.changupnet.go.kr)에서 문의·접수하면 된다. 창업아이템 사업화지원은 사업공고  온라인 접수하면 되고, 창업교육(동아리)  지원은 선도대학별 교육일정에 따라 운영될 예정이다.


문의전화: 창업진흥원(042-480-4352)




[창업·창직]비즈니스 아이디어의 사업화 지원


 사업화가 진행중인 기술  아이디어가 뛰어나서 향후 좋은 성과가 기대되는 경우, 정부가 연구개발비(R&D)  관련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중견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업당 최대 5억원의 국비가 지원(1년간)되고 국비 지원 외에도 해당 기술과 관련된 전문기관이 구체적인 비즈니스 모델 마련  사업화 계획 수립을 지원한다.

이용방법은 산업통상자원부(www.motie.go.kr) 공고 참고하면 된다.


문의전화: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시장과(02-2110-5396)





[창업·창직]무한상상실 개설  운영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엔지니어의 지도하에 실험하고 시제품을 제작하는  과학기술 기반의 스토리 또는 문화콘텐츠를 제작할  있는 스토리텔링 공간 지원 사업이 추진된다.

 국민이 지원대상이며 국립과천과학관, 국립중앙과학관  무한상상실 지정 기관을(전국 22개소)방문해 신청하면 된다. 기관은 선정  미래부 홈페이지(www.msip.go.kr) 공지될 예정이다.


문의전화 : 미래창조과학부 과기인재기반과(02-2110-2594)





 

 

 


2014년 국가 예산 - 좋은 일자리 만들기





[일자리출산·육아기 여성의 고용안정 지원


 근로자가 마음놓고 육아휴직을 사용하고 복직할  있도록 사업주에게 대체인력 인건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지원대상은 아이를 키우는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사업주다.

 근로자가 육아휴직  복직해 30 이상 계속 근무할 경우 중소기업 사업주에게  20만원, 대기업 사업주에게  10만원의 장려금이 지급된다.  근로자의 육아휴직 기간 동안 업무 대체인력을 고용할 경우, 중소기업에  60만원, 대기업에  30만원의 인건비 일부가 지급된다.

 육아휴직중인 근로자의 업무를 대체할 사람을 기업에 연결해 주는 인력은행이 설치되고, 직장 밖에서도 업무를   있는 스마트워크 센터를 만드는 사업주에게 최대 5억원이 지원된다.(신규, 10개소)

지원금과 관련된 사항은 고용부 홈페이지(www.moel.go.kr) 참조해 관련 서류를 고용센터에 제출하면 된다
  


문의전화: 고객상담센터(국번없이 1350)





[일자리직장어린이집 설치 


 사업주가 소속 근로자의 아이 등이 다닐  있는 어린이집을 새로 만들 경우 인테리어·비품구입 비용을 지원하고, 아울러 개원  보육교사 인건비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지원대상은 직장어린이집을 설치·운영하는 사업주다.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용은 단독(1 기업) 3억원, 공동(2 이상 기업 참여) 6억원 한도 내에서 지원된다.

 대기업  80만원, 중소기업  100만원의 지원금 혜택이 있었던 보육교사 인건비는 내년부터 기업규모 구분 없이  120만원이 주어진다.

 어린이집 설치비와 관련한 신청은 근로복지공단 지역본부지사 또는 공단  직장보육지원센터에 신청서 제출하면 되고 보육교사  인건비에 관한 사항은 고용센터에 신청하면 된다.



문의전화: 근로복지공단 직장보육지원센터(02-3677-0585~7)





[일자리여성새로일하기센터 운영 


 취업이 필요한 여성에게 맞춤형 취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전국 130개소에서 운영될 예정이다. 지원대상은 출산·육아·가족 돌봄 등으로 직장을 그만두었거나 직장 경험이 없는 여성  취업을 희망하는 여성이다. 직업상담, 구인·구직관리, 직업교육훈련, 취업알선  맞춤형 취업지원서비스가 제공된다

 신청방법은 여가부홈페이지(www.mogef.go.kr) 참고해 여성새로일하기센터로 방문하거나 전화 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된다.

문의전화: 새일센터(1544-1199) 





[일자리중장년 일자리 희망센터 운영


 중장년 근로자가 부득이하게 퇴직해 다른 직장으로의 재취업 또는 창업을 원할 경우,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장년 일자리희망센터를 운영한다.(전국 28개소)

지원대상은 기업에서 퇴직(예정)하는 근로자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재취업·창업 컨설팅  교육 프로그램, 구인·구직정보  개인별 맞춤형 전직지원 서비스가 제공된다.

신청방법은 중장년 일자리희망센터에 방문하거나 전화 상담  프로그램 참여하면 된다. 관련내용은 중장년 일자리 희망넷(www.4060job.or.kr) 안내를 받을  있다.


문의전화 : 노사발전재단 서울센터(02-6021-1100), 노사발전재단 강남센터(02-3488-1900)



[일자리중장년 취업아카데미 지원


 중장년의  번째 인생설계 지원을 위해 생애재설계 컨설팅, 교육훈련, 취업지원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지원대상은 일자리를 찾아 새로운 인생 후반기를 준비하고자 하는  40 이상 중장년 1,000명이며 경력진단  생애재설계, 기업 맞춤형 취업훈련, 취업지원 서비스가 제공된다.(훈련비 전액 정부 지원)

중장년 아카데미를 운영하고자 하는 기업, 대학, 사업주단체 등은 산업인력공단이 공모를 통해 희망기업 신청을 받고, 중장년 취업 아카데미에 참여하고 싶은 중장년 구직자는 고용노동부로부터 중장년 취업 아카데미 실시 기관으로 인정받은 기관에 신청하면 된다.


문의전화: 고용부 직업능력정책과(02-2110-7248

산업인력공단 고객센터(1577-9997)





[일자리]장애인 근로지원인 확충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업무수행을 돕는 근로지원인을 파견해 지원하는 서비스 사업이 확충된다. 지원대상은 중증장애인 근로자 480명이고, 장애인의 직업생활(문서작성, 대독, 물건운반, 출퇴근, 식사 ) 지원하게 된다.

근로지원인의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중증장애인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www.kead.or.kr) 전국 지사에 신청하면 된다.


문의전화: 장애인고용공단(1588-1519) 





[일자리]반듯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사업주가 기업에 필요한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새로 만들어 근로계약기간을 정하지 않은 근로자를 고용할 경우, 사회보험료  인건비를 지원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지원 대상은 상용형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새로 만들어 근로자를 고용한 사업주다. 고용보험법상 우선대상지원기업의 사업주가 부담하는 국민연금·고용보험 보험료 전액을 2년간 지원하고, 새로 고용한 시간선택제 근로자의 인건비 50%(최고  80만원) 1년간 지원한다.

특히 내년부터는 사회보험료 사업주 부담금 지원제도가 신설되고  최고 60만원이었던 인건비 지원한도가  최고 80만원까지 늘어난다.

사회보험료와 관련된 사항은 근로복지공단에 문의하면 되고 인건비와 관련된 사항은 사업신청서  사업계획서를 작성해 노사발전 재단(www.morejobs.or.kr) 접수하면 된다.


문의전화: 근로복지공단(1588-0075), 

좋은일터만들기본부 컨설팅2(02-6021-1203)




[일자리교대제 전환 지원금 확대


 '교대제' 새로 실시하거나 조를 늘려 실시하고, 이로 인해 생기는  일자리에 실업자를 새로 고용하는 경우, 사업주에게 신규채용 인건비, 기존 근로자에 대한 임금보전, 설비투자 비용 등을 지원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지원대상은 고용보험법상 우선지원대상기업  대기업(신규채용인건비 해당, 설비투자는 융자로 지원)이다.

교대제 개편 또는 실근로시간 단축을 통해 신규채용한 근로자 인건비 지원이 확대된다.  교대제 개편을 위한 설비투자 금액의 30%(최대 2억원 한도) 매칭 지원(우선지원대상기업) 또는 50억원 한도 융자가 지원된다.

교대제 개편 과정에 기존근로자의 임금감소분을 보전한 경우, 신규채용 근로자 수에 비례해 임금보전 금액의 50%(최대 1억원 한도) 지원한다

신청방법은 사업신청서  사업계획서를 작성해 노사발전 재단(www.morejobs.or.kr) 접수하면 된다.


문의전화: 좋은일터만들기본부(02-6021-1203)














 2014년 국가 예산에서 가장 크게 역점을 두고 있는 것은 일자리 창출입니다. 그러나 각 기관마다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공언은 하고 있으나, 중요한 점은 간과하고 있습니다. 양질의 일자리가 만들어지겠느냐? 누구나 자신이 원하는 분야에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일자리가 2014년에 많이 만들어져서 놀고 있는 라이프들이 없었으면 좋겠네요







[일자리]'스펙초월 멘토스쿨' 운영


 스펙이 아닌 직무중심의 채용 문화 확산을 위해 열정과 잠재력 있는 청년(멘티)에게 산업디자인, 사이버 보안  전문 분야를 대표하는 멘토로부터 실무형 교육을 받게   취업으로 연계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지원대상은 34 이하 청년으로 해당 전문분야를 대표하는 멘토로부터 6개월 동안 실무형 멘토링을 받게 되며 역량개발 지원금(수도권 거주자  20만원, 비수도권 거주자  30만원)’ 지급된다. 수료  청년인재은행 DB 등록, 구인기업과 취업매칭을 지원한다.

신청방법은 청년취업아카데미 홈페이지(www.myjobacademy.kr)에서 스펙초월 멘토스쿨 지원서 작성  온라인으로 제출하면 된다. 대상자는 내년  서류심사 등을 거쳐 선발한다.


문의전화한국산업인력공단(02-3271-9363)



[일자리]-학습 병행시스템 도입

고교 3학년 또는 대학 3~4학년을 주요 대상으로 기업에서 취업자(견습생)신분으로 직업훈련과정을 이수토록 하고, 이를 통한 과정을 정규교과과정으로 인정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지원대상은 회사에 적합한 인재를 조기에 채용하고자 하는 기업주, 기업에 조기 취직해 일하면서 학위도 인정받고자 하는 고등학교, 전문대, 대학 최종학년 재학생·졸업생이다.

참여기업에 대해선 훈련프로그램 인증  현장훈련 프로그램 개발, 견습직원 훈련비용, 훈련인프라 확충 등이 지원되고, 참여학생은 현장 맞춤형 훈련 제공을 통한 취업을 도움 받게 된다.

인재를 채용하고 싶은 기업은 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www.HRD.go.kr) 또는 사업주 단체를 통해 신청하면 되고, 일과 학습을 병행하고 싶은 구직자는 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www.HRD.go.kr) 통해 신청하면 된다
       

문의전화고용부 직업능력정책과(02-2110-7248), 산업인력공단 고객센터(1577-9997)



[일자리]해외취업 지원

청년에게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전문가 멘토링 지원 등을 통해 성공적인 해외취업을 지원하는 사업이 확대 추진된다해외취업을 희망하는  34 이하 청년은 누구든 지원이 가능하며, 해외취업연수생에게는 맞춤형 어학·직무역량 교육과정이 제공된다.  글로벌 전문가의 해외진출 상담(멘토링) 지원된다.(2013 2000→14 3100)

 해외진출을 희망하는 청년 등에게 취업·인턴·창업·봉사  서비스를 -스톱으로 제공하며, ·관이 참여하는 헬프 데스크를 서울에 설치할 예정이다. 신청방법은 월드  홈페이지(www.worldjob.or.kr)에서 지원서 작성  온라인으로 제출하면 된다.


문의전화산업인력공단 고객센터(1577-999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