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밭으로 갔나?? 5만원권
결혼식 축의금을 받다보면 가장 많은 금액은 5만원이다. 그런데 5만원권으로 하면 무언가 없어서 보여서 그런지 만원권 5장으로 봉투를 채우는 경우가 많다. 물론 간혹 5만원권 한장을 봉투에서 넣어서 주는 분들도 있는데... 그많던 5만원권은 어디로 갔을까? 10억장이나 찍었다는데, 왜 난 안가지고 있을까?
한국은행에 따르면 5만원권 발행잔액은 지난 6월을 기점으로 시중에 풀린 전체 화폐(기념주화 제외) 잔액의 3분의 2를 넘어섰다. 7월말 현재 발행잔액은 46조171억원으로 전체 화폐 잔액(68조387억원)의 67.6%를 차지했다. 1000만원 중 700만원 가까이가 5만원권이란 얘기다.
2009년 6월 23일 처음 시중에 유통되기 시작한 5만원권의 발행잔액 비중은 2010년 2월 30.6%, 2011년 8월 50.5%, 2012년 11월 60.1%로 높아졌다. 이어 작년 11월 64.6%로 상승하고서 올해 1월 62.8%까지 뒷걸음쳤다가 2월 65.1%, 3월과 4월에 각 65.9%로 다시 상승했다.
발행부터 논란이 많았던 5만원권. 우리나라 최고액권인 5만원권은 출시 5년만에 빠른 보급 속도를 보이며 어느새 ‘국민화폐’로 등극했다. 지난 7월말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5만원권의 총 장수는 9억200만장으로, 20세 이상 대한민국 성인 1인당 평균 23장 정도를 갖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정작 5만원권을 만지기는 어렵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처럼 5만원권의 발행규모는 계속 증가하는데 비해 환수율은 올 들어 크게 떨어졌다. 한은에 따르면 올 1~7월 발행된 5만원권은 7조2397억원인 가운데 같은 기간에 환수된 5만원권은 1조9037억원으로 환수율이 26.3%에 그쳤다. 작년 같은 기간 환수율(54.4%)과 비교하면 반토막도 안된다. 7월 한 달간 환수율만 계산해보면 16.8%로 더 저조했다.
발행하는 족족 누군가 진공청소기를 대고 쫘악 빨아들이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고 있다. 의심이 드는 곳은 단연 보관 용이성 때문에 지하경제에 포커스를 맞추려고 한다. 그러나 지하 경제와 맞먹게 정치권의 로비자금이나 대기업의 비자금으로 더욱 의심이 들수밖에 없다.
5만원권 한 묶음이면 500만원, 한 다발이면 5000만원이다. 007가방과 사과상자에는 각각 5억원, 25억원이 들어간다니...
우리도 전국에 있는 마늘밭을 속속히 수색해볼까??
'M' Money >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연금학회 - 공무원연금개혁안 설명자료 (0) | 2014.11.10 |
---|---|
장기입원 환자 본인부담금 인상 예정 (보건복지부 2014.10.21) (0) | 2014.10.24 |
금융권 자금흐름의 특징과 시사점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0) | 2014.09.23 |
[재테크]은행 적금 이자율 계산방법 (0) | 2014.09.05 |
급여 통장 비교 - 투자자리포트 7호 (0) | 2014.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