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합산 최고 연금액은 월 446만원, 개인 최고 연금액은 246만원

 

 



 1988년 제도가 시행된지 34년만에 국민연금 수급자가 600만명을 돌파했다.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국민연금 수급자는 2020년 4월 500만명을 넘은 데 이어 2년 1개월 만인 2022년 5월 600만 명을 넘어섰다고 국민연금 관리공단이 밝혔다. 

 



 연금 수급자가 300만명에서 400만명으로 느는 데 4년 8개월, 400만명에서 500만명으로 느는 데 3년 6개월이 걸렸던 점을 보면 국민연급 수급자의 증가 속도는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 은퇴 등으로 수급자가 빠르게 느는 것으로 공단은 분석했다.

[국민연금 제공]




 지난 3월 기준으로 국민연금공단은 592만명의 수급자에게 월 2조6천억 원의 연금을 지급했다. 500만명 돌파 시점인 2020년 4월과 비교해 수급자 수는 88만명(18%), 금액은 6천억원(31%) 증가한 수치다.


 급여 종류별 수급자는 노령연금이 496만명(84%), 유족연금 89만2천명(15%), 장애연금 6만9천명(1%)이었다. 월 100만원 이상 수급자는 48만7천728명, 200만원 이상 수급자는 2천994명이다. 부부합산 최고 연금액은 월 446만원, 개인 최고 연금액은 246만원으로 나타났다. 

 

 

100만 원 이상 노령연금 수급자는 49만 명으로 2020 4월 대비 19만 명(65%) 증가

(단위: , )

구 분 200만 원 이상 수급자 100만 원 이상 수급자 평균 월 지급액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
20년이상
2022.3 2,994 487,728 575,418 973,426 472,911 312,294
2020.4 190 295,109 534,596 928,945 457,418 287,598

 



 특히 부부 모두 노령연금을 받는 수급자는 54만3천491쌍으로, 2020년 4월 대비 16만쌍(43%) 급증했다. 이중 합산으로 300만원 이상의 연금을 받는 수급자는 330쌍이었다. 같은 기간 62세 이상 수급자는 464만명에서 556만명으로 92만명(20%) 늘었다.

100세 이상 수급자 현황

(단위: , 천 원)

구 분 인원수 평균지급월액 최고지급월액 최저지급월액
126 241 697 137
29 226 435 161
97 245 697 137

 



 누적 최다 연금지급액은 3억3천705만6천원, 최장 지급기간은 398개월, 최고령자는 109세였다. 100세이상 수급자는 남성 29명, 여성 97명으로 총 126명이었고 평균 월 지급액은 24만1천원이었다.




2022.5.23.(월) [보도자료] 국민연금, 수급자 600만 명 시대 열어(최종).hwp
0.52MB

부부합산 국민연금 최고수령액 월 435만원

 


2021년 월 100만원 이상 국민연금을 받는 사람이 40만명 넘어섰다. 월 연금수령액 최고액은 240만원이었다. 16일 국민연금공단이 공개한 <2021년 국민연금 수급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총 607만 124명에게 29조1368억원을 연금으로 지급했다. 

https://www.nps.or.kr/jsppage/news/pr_news/pr_news_01.jsp

 노령·장애·유족 연금수급자가 586만4373명, 지급액은 28조807억원이다. 나머지는 일시금으로 지급된 액수다. 연금수급자는 전년 대비 48만2000명 증가했다. 노령연금의 경우 수급 개시 연령인 62세 이상 수급자는 지난해 말 기준 540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62세 이상 전체 인구의 48.3%를 차지한다. 

 월평균 노령연금액은 55만 7000원이다. 월 100만원 이상 수급자는 43만531명으로, 전년보다 9만162명 증가했다. 월 100만원 이상 수급자는 2007년 처음 등장해 2016년 10만명, 2018년 20만명, 지난해 30만명을 넘었고, 지난해 40만명대로 올라섰다.

 

사진=연합뉴스

 

 

 매월 200만원 이상 국민연금을 받는 수급자는 2020년 437명에서 2021년 1,356명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국민연금 월 최고 수령액은 노령연금 240만원이다. 부부 합산 최고 연금액은 435만4000원이었다. 100세 이상 연금수급자는 117명으로, 이 중 여성이 77.8%(91명)다.  최고령 수급자는 108세 여성으로, 국민연금 가입자였던 자녀가 사망함에 따라 1994년부터 유족연금을 받고 있다. 노령연금 최고령 수급자는 93세, 장애연금은 91세다.

 

사진=아시아경제



 20년 이상 가입한 노령연금 수급자는 103만9680명으로 100만명을 넘었다. 이들의 월평균 연금액은 94만원이다. 30년 이상 가입자는 10만6000명, 월평균 142만2000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을 든든하게 연금을 튼튼하게

 

www.nps.or.kr

 

 

노후보장의 가장 기본이고 절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국민연금이다. 기초보장을 다져놓지 않고 노후 설계를 진행한다면 물위에 집을 짓는 것이나 다름없다. 언젠가 허물어지고 가라앉고 말것이다. 국가의 지급보장 의무가 명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기는 하지만 그렇다해도 최고의 연금 상품이라면 '국민연금'이라고 생각된다.

 

 

 

 종신토록 보장하는 연금이고, 물가를 반영해서 매년 연금이 인상된다는 것은 가장 큰 장점이다. 국민연금의 위기를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위협적으로 언급하는 사람들은 국민연금의 고갈을 얘기하는데 내는 사람이 적고 받는 사람이 많아지면 제도 자체가 위험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 변경을 통해 조정해왔고 앞으로도 개혁이 이뤄질 것이다. 국민연금이 위험하다면 그 외의 금융상품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을지 고민해보자. 사모펀드의 영역에서 벌어졌던 일들을 생각해본다면... 

 

 

국민연금관리공단

 

국민연금공단은 `2020 국민연금 지급 통계 현황`을 통해 지난해 국민연금을 가장 많이 받은 사람은 월 227만원을 수령했고, 부부가 받은 합산 최고액은 월 382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부부합산으로 국민연금 최고 수령액은 매월 382만원으로 확인되었다. 서울에 사는 부부 A씨(66)와 B씨(66)는 제도 시행 첫해에 국민연금을 가입했다. 남편 A씨는 1988년 1월부터2014년 1월까지 313개월 동안 보험료를 냈고, 5년간 연금 지급을 연기하는 대신 작년 2월부터 연기 가산율 36%를 적용받아 노령연금 월 188만원을 받고 있다. B씨 역시 1988년 1월부터 329개월간 보험료를 납입했고 5년 연기 후 작년 7월부터 노령연금 월 193만9000원을 받고 있다.

 

국민연금관리공단

 

 

 공단은 지난 한 해 총 559만명에게 국민연금 25조6500억원을 지급했다. 이 중 노령연금을 받는 수급자의 평균 연금액은 54만1000원이었다. 개인이 받는 노령연금 최고 수령액은 월 226만9000원으로 나타났다. 누적으로 가장 많은 금액을 받은 사람은 총 2억187만원을 지급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 제도가 성숙하며 20년 이상 가입자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20년 이상 가입한 노령연금 수급자는 지난해 말 기준 전년 대비 25.2% 증가한 83만8000명으로 평균 연금액은 월 93만원으로 집계됐다. 2015년에는 32만2498명에 불과했으나, 5년 전 대비 약 2.6배 증가했다. 30년 이상 가입자는 5만5000명으로, 평균 연금액은 월 136만8000원이다. 이 같은 장기 가입 국민연금 수급자들이 기대수명까지 연금을 받을 경우 그동안 낸 보험료보다 최소 1억~2억원가량 더 많은 국민연금을 수령할 수 있다.

 

 

국민연금관리공단

 

 

 국민연금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그러나 노후에 믿을 수 있는 기초 자산은 국민연금이다. 지금은 국민연금이 위험하다고 제도를 없애자는 얘기보다는 어떻게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나의 노후 자산을 지킬수 있을지 고민해야 하는 지점이라 생각된다.

 

 

 

 

 

 




100세 시대 최후의 보루 '국민연금'



국가가 절대적으로 건드리지 말아야 할 돈이 국민연금이다. 고령화사회가 급속도로 진전되고 있고 안정보다는 불안이 더 짙게 드리워진다면 더욱 그러하다. 국민연금 제도의 유지를 위해서 정책적으로 제도의 손질이 필요할 지 몰라도 손을 대는 짓은 해서는 안되는 거다.





 100세 시대에 준비해둔 자산은 부동산이 전부인데 가치 상승보다는 하락쪽에 무게추가 움직일 것으로 예상된다. 노후에 돈이 필요하다고 건너방을 떼어서 팔수는 없는 노릇이고 주택연금 등에 의지해야 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유동성 최후의 보루로 국민연금은 안전장치가 겹겹이 있더라도 유지되어야 한다. 정치권이 자신의 주머니인양 사용하려는 것은 철저히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붙임1) 2017년 12월말 기준 국민연금 공표통계.hwp






국민연금 수급자는 2017년 12월 현재 448만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매달 받는 평균금액은 30만원이 약간 넘었다.





 4월부터 국민연금은 소비자 물가 변동률 1.9%를 반영하여 인상된다. 국민연금은 받고 있는 금액이 종신도록 지급되고, 물가에 연동해서 지급받는 금액이 오르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서 적용되는 4월 25일부터는 30년된 국민연금 시행 이후 최초로 매달 200만원 이상 지급받는 수령자가 나올것이다. 금액 추산하면 약 202만 8천원 가량이 가능하다. 





 국민연금을 납부할때 기준이 된느 소득월액의 상한액과 하한액도 변경된다. 상한액은 기존의 449만원에서 468만원으로, 하한액은 29만원에서 30만원으로 조정된다. 이에따른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액이 늘어날 상황이다.




 2019년부터는 소비자 물가상승률 반영 시점에 대해서 4월이 아닌 1월로 당겨진다고 한다. 이전에 통계를 추리는 시간이 있었지만 현재는 통계시스템이 갖춰진 상태에서 3월이나 연금 상승분을 미뤄서 지급했다는 비판 때문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