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면서 사연없는 사람이 어디있는가? 그러나 들어주는 사람이 있고 위로주는 사람이 있어 사람사는 세상이라 하는 않는가. 장기 간병! 누군가는 병상에 또다른 누군가는 일상이 멈춰버린 상황을 맞이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누구에나 찾아올수 있다.

 부모님의 치매, 아이의 불치병으로 자신의 일상을 멀리하는 경우를 보아왔다. 부모님이 갑자기 불치병에 걸리시자 아내와는 이혼을 회사에는 사직서를 내고 아이들에게는 용서를 구하고 간병을 했던 지인도 있다. 

 우연히 찾아봤던 <그러니 그대 쓰러지지 말아>는 아주 짧은 에세이다. 감정이 동화되지 않는다면 2시간도 안걸릴 책인데... 이걸 끌고 있다. 중간중간 멈춰 버리는 곳들이 있다. 잠시. 

 

 

 

 

 

 아내가 불치병에 걸렸다. 하루 이틀도, 한 달도, 일 년도 아니었다. 병명은 다발성 경화증. 사지가 마비되는 것은 물론, 대소변을 가릴 수도 없고, 폐가 썩어 들어가서 숨 쉬기가 힘들어지고, 한쪽 눈은 시력을 잃어가는 중이었다. 전조 증상이 있었던 것도 아니다. 건강했던 아내가, 아이들의 엄마가, 사랑하는 사람이 결혼한지 20년만에 찾아온 병에 손가락 하나 까딱할 수 없다. 이제부터 아내의 고통을 줄여주는 약을, 각종 재활치료를, 그리고 막대한 돈을 만들어내야 아내를 지킬수 있다. 

 

 병원비와 치료비를 위해 가진것들을 내다 판다. 자신의 분신처럼 모았던 것들이 헌신짝처럼 고물이되어 팔려버린다. 다 의미없다. 아내에 비할 수 없는 것들이다. 부모가 살아있는데도 구실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래도 아이들이 의사표현을 할 수 있는 나이는 되었다. 그 얼마나 다행인가? 

 

 반복되는 고통을 줄이기 위해 극단적인 생각도 했다. 아내의 치료비를 구하기 위해 일터로 향하다 잡고 있던 핸들을 틀어볼까 하는 생각도 했다. 그러나... 그 아픈 아내를 볼 수 있다는 것으로 행복이라는 것을 알게된다. 아내의 부재로 인한 공허함을 견딜수 없고 살아갈 힘이 없을 것이라 알고 있다. 그리고 그 횟수가 6년이 넘었다. 

 

 

https://www.dailian.co.kr/news/view/407718/?sc=naver

 

6년이라는 투병 기간 동안 참으로 숱한 일들이 있었다. 하룻밤 사이, 그야말로 순식간에 사지가 마비된 일도 있었고 몸의 장기가 도미노처럼 연쇄적으로 망가지기도 했다. 그러나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이런 절망스런 상황이 아니었다. 아내가 귤 한 알을 까서 내 입에 넣어 준 일이었다. 비록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거칠게 까놓은 것이었으나 그때의 감동을 무어라 말해야 할까. 그날 나는 남몰래 밖으로 나가 펑펑 울었다. 서럽고 멍들었던 지난날의 고단함이 한꺼번에 떠오르고, 한편으로 너무나 감사하고 감사했다. --- p.8

 

인간이 불행한 것은 자신이 행복하다는 것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말이 있다. 인생의 바닥, 더는 아무런 희망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순간에 나는 내가 행복하도록 설계된 인생의 길을 걷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 p.15

 

그저 살아서 곁에 있어 준다는 것만으로도 감사하는 사랑의 감정을 갖게 된 것은, 아무리 고되고 힘들어도 아내 곁을 흔들림 없이 지킬 수 있게 된 것은, 아내가 시력을 잃어 영원히 볼 수 없는 사람이 될지도 모르는 상황에 처하고 나서였다. 퉁퉁 부은 얼굴, 여기저기 주사자국으로 멍들고 땀과 약으로 범벅이 된 아내를 붙잡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 있게만 해달라고 간절히 기도하면서 나는 간신히 사랑의 모습을 얼핏이나마 마주할 수 있게 된 것이었다. --- p.74

 

부모는 껍질이요,자식은 속살이라는 말이 있다. 모든 시련을 제 살갗으로 막으며 여린 자식이 성글기를 기다렸다가, 열매가 익었을 때에 부모의 할 일은 그만 떨어져 한 줌 흙으로 썩는 것이다. 그것이 자연이 허락한 부모의 역할이다. --- p.129

 

그러니 더욱 생각해야 할 것은 모두가 상처를 받지만 상처받는 모두가 불행해지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원치 않는 불행으로 인해 몸과 영혼에 고통의 흔적이 남는 것은 슬퍼할 일이나, 이를 치유하는 과정을 통해 더 아름다운 인생의 발자국을 남길 수 있다는 것이 삶의 묘미인 것이다. --- p.146

 

우리들에게 가장 좋은 날은 언제일까? 이미 지난 어느 날일까? 아님 아직 오지 않은 날일까? 당연히 우리 생애 최고의 날도 아직 오지 않은 ‘내일’일 것이다. 어떤 날이 올지 알 수 없기 때문이 아니다. 이런 생각을 통해서 오늘이 좀 모자라고 힘들더라도 참고 버텨낼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이미 지난 날 중에 가장 좋은 날이 있다면, 우린 기껏 추억이나 되풀이하면서 남은 인생을 회한 속에 살아야 한다. --- p.197

 

우리의 사연을 접하는 모든 사람들이, 신문사가, 방송국이 그렇게 물었다. 모르고 그냥 살 때는 살아지는데, 남에게 말할 때는 민망해진다. 그저 신이 우리에게 선한 이웃들을 보내셨기 때문에 삶을 살 수 있었다고. 이제까지의 삶에 비추어 앞으로도 그러하리라 믿음을 갖고 있지만, 나도 이런 질문들에 계속 몰리게 되면 어느새 마음 한가운데 불안이 생기고 이 불안은 알 수 없는 분노와 짜증, 허무와 외로움이 되어 나를 덮친다. 그러니 여기까지! 멈추지 않으면 어디까지고 파고드는 숱한 불안들을 나는 차단한다. 불평과 불만으로 자신의 인생을 학대하는 것만큼이나 어리석은 일이 어디 있겠는가? 삶은 행복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니 말이다. --- p.211

 

세상에 공짜는 없다. 소중한 것일수록 대가는 비싸고, 손에 넣기 어려운 것일수록 참고 견뎌야 과정도 더 많은 것이다. 우리 가정에 닥친 시련은 나와 아내, 세 아이들에게 많은 보물을 남겼다. 전에 느끼지 못했던 생에 대한 감사와 우리 이웃들에 대한 이해와 사랑, 강인한 성장과 연단이라는 보물을 허락한 것이었다. 부디 오늘 하루를 고통 가운데에서 보낸 사람이라면 우리 생에 있어서 ‘오늘 하루’가 갖는 의미란 무엇일까 생각해 보았으면 좋겠다. 오늘은 선물로 주어진 것이다. 비록 두 걸음 오르고 세 걸음 미끄러지더라도, 내일 하루가 다시 선물로 주어진다면 우리는 다시 걸어 올라갈 수 있는 것이다.

--- p.239

 

 

 

 

 

 

 

 

 

 

 

2020년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pdf
1.37MB

 2020년 총 출생아 수가 1970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20만명대를 기록했다. 지난해는 사망자수가 출생아수를 앞지른  인구 자연감소의 ‘원년’으로 기록됐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도 사상 최저인 0.84명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에 따르면 총 출생아 수는 27만2400명이었다. 전년에 비해 10% 줄어든 수치다. 1970년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다. 합계출산율은 전년대비 0.08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인 조(粗)출생률은 5.3명으로 전년보다 0.6명 줄었다. 출산율은 4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전년대비 감소했다. 주 출산 연령인 30대 초반 출산율이 86.3명에서 79.0명으로 가장 크게 줄었다. 20대 후반 출산율은 35.7명에서 30.6명으로 5.1명 감소했다. 30대 후반 출산율은 42.3명으로 2.7명 줄었다. 40대 초반의 출산율은 7.1명으로 지난해보다 0.1명 늘었다.

 

 

 

  평균 출산연령은 33.1세로 전년대비 0.1세 상승했다. 첫째 아이는 32.3세, 둘째 아이는 33.9세, 셋째 아이는 35.3세 등으로 전년보다 평균 0.1세 높아졌다.

 

 

 

 사망자 수는 30만5100명으로 전년대비 1만명(3.4%) 증가했다. 인구 1000명당 사망자 수인 조사망률은 5.9명으로 전년보다 0.2명(3.4%) 늘었다. 사망률 성비는 1.2배로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고, 특히 60대의 경우 사망률 성비가 2.7배로 최대였다. 60대 남자의 사망률이 여자보다 2.7배 높은 셈이다.

 

 

 

 

 인구 자연증가(출생-사망)를 살펴보면 3만3000명이 마이너스를 기록해 전년대비 4만명 감소했다. 통계 작성 이래 최초로 인구의 자연감소를 기록했다. 자연증가율(인구 1,000명당 자연증가)은 -0.6명으로 전년보다 0.7명 줄었다. 지역별로는 경기(1만5000명)와 세종(2000명) 등 6개 시도는 자연증가한 반면 경북(-1만명), 부산(-8000명)등 11개 시도는 자연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https://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88265

 

보도자료 전체 | 통계청

통계청이 생산한 통계자료와 주요활동을 국민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하여 언론에 제공하는 자료입니다.

www.kostat.go.kr

 

 

 

 

 

<연도별 출산율 & 신생아수 통계(통계청)>

연도

출생아수

조 출생률
(1000
명당)

합계 출산율

1949

     

1951

     

1952

     

1953

     

1954

     

1955

     

1956

     

1957

     

1958

     

1959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020,235

   

1968

1,016,739

   

1969

1,017,618

   

1970

1,006,645

   

1971

1,024,773

31.2

4.54

1972

952,780

28.4

4.12

1973

965,521

28.3

4.07

1974

922,823

26.6

3.77

1975

874,030

24.8

3.43

1976

796,331

22.2

3.00

1977

825,339

22.7

2.99

1978

750,728

20.3

2.64

1979

862,669

23.0

2.90

1980

862,835

22.6

2.82

1981

867,409

22.4

2.57

1982

848,312

21.6

2.39

1983

769,155

19.3

2.06

1984

674,793

16.7

1.74

1985

655,489

16.1

1.66

1986

636,019

15.4

1.58

1987

623,831

15.0

1.53

1988

633,092

15.1

1.55

1989

639,431

15.1

1.56

1990

649,738

15.2

1.57

1991

709,275

16.4

1.71

1992

730,678

16.7

1.76

1993

715,826

16.0

1.65

1994

721,185

16.0

1.66

1995

715,020

15.7

1.63

1996

691,226

15.0

1.57

1997

668,344

14.4

1.52

1998

634,790

13.6

1.45

1999

614,233

13.0

1.41

2000

634,501

13.3

1.47

2001

554,895

11.6

1.30

2002

492,111

10.2

1.17

2003

490,543

10.2

1.18 

2004

472,761

9.8

1.15

2005

435,031

8.9

1.08

2006

448,153

9.2

1.12

2007

493,189

10.0

1.25 

2008

465,892

9.4

1.19

2009

444,849

9.0

1.15

2010

470,171

9.4

1.22

2011

471,265

9.4

1.24

2012

484,550

9.6

1.30

2013

436,455

8.6

1.19

2014

435,435

8.6

1.21

2015

438,420

8.6

1.24

2016

406,243

7.9

1.17

2017

357,771

7

1.05

2018

326,822

6.4

0.98

2019

302,676

5.9

0.92

2020

272,400

 

0.84

 

 한국가정법률상담소는 2020년 여성 3260명(76.9%) 남성 979명(23.1%) 등 총 4139건의 이혼 상담을 진행했다는 보도자료를 냈다. 서로 성격이 다른 물질을 하나로 융합하는데 엄청난 에너지가 들어가는데... 살아온 인생이 다른 사람들이 하나의 가족을 이루기 위해서 갈등이 있기에 노력은 당연하다. 그렇다고 노력하지 않아 이혼한다는 것이 아니라 결혼이 자연스럽듯 이혼도 삶의 일부분처럼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원인이야 어떻든 상담 분석내용을 보면 여성의 경우 ‘폭력 등 남편의 부당대우’가 가장 많은 이혼 사유로 48.3%를 나타냈다. 이어 장기별거·성격 차이·경제갈등 등 기타 사유(31.4%)가 있었고, 남편의 외도(8.3%)는 세 번째로 많은 이혼 사유였다. 남성의 이혼 사유로는 장기별거·성격 차이·경제갈등 등 기타 사유가 56.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아내의 가출(23.0%), 폭력 등 아내의 부당대우(13.3%)와 같은 이유가 뒤를 이었다.

 

 

남녀별 이혼 사유. 자료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여성은 40대의 이혼 상담이 전체의 32.0%로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25.4%), 60대 이상(22.3%), 30대(15.7%), 20대(4.6%)의 순으로 나타났다. 60대 이상 고연령 이혼 상담도 있었다. 이혼을 결정한 91세 부인은 “94세 남편은 평생 외도를 했고, 현재는 딸과 동갑인 여자와 외도 중”이라며 “엊그제도 맞았는데, 이제껏 참고 살아온 내가 불쌍하다”며 털어놨다. 그는 “애들 어릴 때 외도하는 남편에게 맞아 상담소를 찾았다”며 “이혼하면 애들이 거지가 될 것 같아 참고 살았다”고 고백했다.

 

 

<60대 이상 연도별 이혼상담 비율>

 

 

 남성의 이혼상담은 의외로 60대 이상이 가장 많아 43.5%였다. 그 뒤로 50대(28.5%), 40대(19.7%), 30대(7.5%), 20대(0.8%)가 이었다.

 

연도별 이혼상담 비율. 자료 한국가정법률상담소

 

 다른 해와 다르게 2020년은 코로나 19로 인한 상담건수도 증가했다. 여성의 7.6%, 남성의 4.2%가 코로나19 인한 실직·폐업 등 경제위기를 겪었고 이 상황이 고스란히 가정불화로 이어졌다는 상담 내용이었다. 

 남성들은 궁핍한 가정 경제를 모두 남편의 책임으로 돌리는 아내의 태도가 가장 견디기 힘들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여성들은 경력이 단절된 후 단순 노무 같은 일자리마저 구하지 못해 생계에 위협을 받을 때 무능한 남편에 대한 원망이 더욱 커졌다는 고충을 털어놨다.

 

 

지난해에는 친권·양육권 상담이 전년의 1.5%에서 지난해 1.7%로, 양육비 상담은 3.2%에서 4.5%로 증가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308134400530

 

어느 91세 부인의 이혼 사유…"94세 남편 지금도 외도에 폭력"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오예진 기자 = "애들 어릴 때 외도하는 남편에게 맞아 상담소를 찾아갔었다. 그러나 이혼하면 애들이 거지가 될 것 같아 참고 ...

www.yna.co.kr

 

 

 

 

 

 

 

http://lawhome.or.kr/newhome/sub06/list.asp?code=2

 

한국가정법률 상담소

 

lawhome.or.kr

 

 

 

유명 갈비 체인점서 폐기해야 할 고기 '빨아서' 판매

 

 고기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았던 유명 갈비 체인점이 빠르게 사실을 인정하고 사과문을 홈페이지에 올렸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11734463&isYeonhapFlash=Y



 지난해 법원에 접수된 소송 사건은 658만5000여건으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사와 형사 사건은 줄고 가사 사건은 증가했다. 18일 대법원의 '2019 사법연감'에 따르면 지난해 1년간 법원에 접수된 소송 사건은 658만5580건으로2018년에는 674만2783건 대비 약 2.33% 감소했다.


 이중 ▷민사사건은 475만505건으로 지난해 접수된 소송 사건의 72.1%를 기록했다. 2016년 473만5443건, 2017년 482만6944건으로 소폭 늘었다가 다시 줄었다. ▷형사사건은 151만7134건으로 소송 사건의 23.1%를 차지했다. 2016년 171만4271건에서 2017년 161만4463건으로 감소세다. ▷가사사건은 16만8885건으로 지난해 접수된 소송 사건의 2.6%를 기록했다.





 전체 접수건수를 기준으로 등기 등 신청 사건을 제외한 민사 본안사건은 103만7397건으로 전년 대비 5.34%가 감소했다. 2016년에는 104만8749건이었고, 2017년엔 109만5931건으로 소폭 늘었다가 줄어들었다. 이중 1심은 95만9270건, 항소심은 5만8971건이 접수됐으며 전년 대비 각각 5.74%, 6.19%가 감소했다. 상고심 접수건수는 1만9156건으로 2017년 1만5364건에서 24.68%로 대폭 증가했다. 반면 형사 본안사건은 33만9753건이 접수돼 전년 대비 8.64%가 감소했다. 2016년에는 38만9155건이었고 2017년에는 37만1887건이었다. 1심은 24만244건, 항소심은 7만5252건이 접수돼 전년 대비 각각 8.52%와 9.99%가 줄었다. 지난해 상고심 접수건수는 2만3975건으로 전년의 2만5308건에서 5.27%가 감소했다.






 재판상 이혼사건 접수건수는 3만6054건으로 전년 대비 1.13%가 증가했다. 2016년 3만7400건, 2017년 3만5651건으로 소폭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했다.


 소년보호사건은 3만3301건이 접수돼 전년 보다 2.37%가 감소했다. 지난해 처리된 사건의 71.5%에 달하는 2만4494명이 보호처분을 받았고 그중 16세 이상 18세 미만 소년이 9701명으로 39.6%를 차지했다.


 민사본안사건은 인구 1000명당 19건, 형사본안사건은 인구 1000명당 5건, 가사본안사건은 인구 1000명당 1건의 비율이다. 이 밖에 전자소송도 활성화 추세다. 지난해 1심 특허소송은 878건이 접수됐고 모두 전자소송이었다. 1심에서 접수된 전자소송이 민사는 전체 접수건수의 77.2%, 행정·가사는 전체 접수건수의 100%와 70.9%를 각각 차지했다.







사법연감 전자책은 법원도서관 홈페이지(https://library.scourt.go.kr/kor/ourspron/law_list.jsp) 또는 법원도서관 전자책서비스 홈페이지(http://ebook.scourt.go.kr/ebook/search_list.asp?keyoption2=title&keyword=사법연감)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scourt.go.kr/portal/news/NewsViewAction.work?pageIndex=1&searchWord=&searchOption=&seqnum=5&gubun=7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