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외국인 토지 보유현황
2020년말 기준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토지면적은 전년 대비 1.9%(468만㎡) 증가한 253.3㎢(2억 5335만㎡)으로 나타났다. 전 국토면적(10만413㎢)의 0.25%을 차지하며, 공시지가로는 31조4962억원어치다.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6&tblId=DT_MLTM_6044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0년말 기준 외국인 토지 보유 현황’에 따르면, 외국인이 보유한 토지의 공시지가는 2019년말 30조7758억원에 비해 3.1% 늘었다. 이와 관련 국토부는 "지난해 외국인 보유 토지가 늘어난 주요 원인은 미국·캐나다·호주 등 국적자의 증여·상속·계속보유에 의한 취득(393만㎡)"이라고 설명했다. 상속·증여는 내국인이 외국인 자녀 등에게 상속 또는 증여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취득 유형이고, 계속보유는 내국인(국내법인)이 국내 토지를 보유하고 있다가 외국인(외국법인)으로 국적변경 후 토지를 계속 보유하는 경우다.
보유 주체별로 보면, 외국국적 교포가 1억4140만㎡(55.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합작법인 7118만㎡(28.1%), 교포가 아닌 외국인 2136만㎡(8.4%), 합작법인이 아닌 외국법인 1887만㎡(7.4%), 정부·단체 55만㎡(0.2%) 순이었다.
< ‘20년 말 외국인 토지보유 현황 >
구 분 |
’19년 말 |
’20년 말 |
증감 |
전년대비 증감률 |
면적(천㎡) |
248,666 |
253,347 |
4,681 |
1.9% |
금액(억원) |
30조 7,758 |
31조 4,962 |
7,204 |
3.1% |
필지 수* |
147,483 |
157,489 |
10,006 |
6.8% |
* 외국인에 대한 필지 수 집계는 한 개 필지의 일부를 보유하더라도 1필지로 계산(예: ①5개 필지에 100호로 구성된 집합건물의 1호 보유시 5개 필지 보유로 집계, ②이를 2명이 공동소유로 보유시 10개 필지 보유로 집계)
국적별로 보면, 미국은 전년대비 2.7% 증가한 1억3327만㎡로 전체 외국인 전체 보유면적의 52.6% 차지했다. 이어 중국 7.9%, 유럽 7.2%, 일본 7.0% 순이고, 나머지 국가가 25.3%로 나타났다. 공시지가 금액기준으로는 미국이 13조1662억원으로 전체의 41.8%를 차지했다. 이어 유럽 16.6%, 중국 9.0%, 일본 8.1%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4574만㎡(전체의 18.1%)로 외국인이 가장 많은 토지를 보유하고 있는 지역이었다. 이어 전남 3894만㎡(15.4%), 경북 3614만㎡(14.3%), 강원 2290만㎡(9.0%), 제주 2181만㎡(8.6%) 순으로 외국인 보유 면적이 컸다.
<시도별 외국인 토지보유 현황>
(단위: 천㎡, 억 원, %)
구분 |
2019년 말 |
2020년 말 |
증감 |
증감률(%) |
||||
면적 (천㎡) |
금액 (억원) |
면적 (천㎡) |
금액 (억원) |
면적 (천㎡) |
금액 (억원) |
면적 |
금액 |
|
전 국 |
248,666 |
307,758 |
253,347 |
314,962 |
4,681 |
7,204 |
1.9% |
2.3% |
수도권 |
50,465 |
181,970 |
52,514 |
188,480 |
2,048 |
6,511 |
4.1% |
3.6% |
서 울 |
3,032 |
114,175 |
3,097 |
116,724 |
64 |
2,548 |
2.1% |
2.2% |
부 산 |
4,825 |
21,409 |
4,988 |
21,531 |
163 |
122 |
3.4% |
0.6% |
대 구 |
1,530 |
4,154 |
1,628 |
3,975 |
99 |
△178 |
6.4% |
△4.3% |
인 천 |
3,529 |
22,640 |
3,675 |
24,147 |
146 |
1,507 |
4.2% |
6.7% |
광 주 |
2,602 |
3,063 |
2,611 |
3,067 |
9 |
4 |
0.4% |
0.1% |
대 전 |
1,439 |
3,174 |
1,474 |
3,193 |
35 |
18 |
2.4% |
0.6% |
울 산 |
7,007 |
13,671 |
7,030 |
13,703 |
23 |
31 |
0.3% |
0.2% |
세 종 |
1,896 |
828 |
1,936 |
849 |
40 |
21 |
2.1% |
2.6% |
경 기 |
43,904 |
45,154 |
45,742 |
47,610 |
1,838 |
2,455 |
4.2% |
5.4% |
강 원 |
22,191 |
2,782 |
22,900 |
2,850 |
709 |
69 |
3.2% |
2.5% |
충 북 |
12,724 |
3,533 |
13,533 |
3,625 |
809 |
92 |
6.4% |
2.6% |
충 남 |
19,624 |
9,497 |
20,130 |
9,699 |
506 |
202 |
2.6% |
2.1% |
전 북 |
8,401 |
2,755 |
8,494 |
2,801 |
93 |
46 |
1.1% |
1.7% |
전 남 |
38,634 |
25,202 |
38,938 |
25,237 |
304 |
35 |
0.8% |
0.1% |
경 북 |
36,586 |
17,538 |
36,141 |
17,621 |
△444 |
83 |
△1.2% |
0.5% |
경 남 |
18,913 |
12,537 |
19,225 |
12,583 |
312 |
46 |
1.7% |
0.4% |
제 주 |
21,830 |
5,646 |
21,806 |
5,749 |
△24 |
103 |
△0.1% |
1.8% |
용도별로는 임야·농지 등이 1억6785만㎡(66.3%)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공장용 5878만㎡(23.2%), 레저용 1190만㎡(4.7%), 주거용 1072만㎡(4.2%), 상업용 409만㎡(1.6%) 순이었다.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토지는 2014~2015년 사이 높은 증가율을 보였지만 2016년 증가율이 둔화된 뒤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외국인 보유 국내 토지의 전년대비 증가율은 2014년 6.0%, 2015년 9.6%까지 올랐다가 2016년, 2017년 각각 2.3%씩 늘었고, 2018년 1.0%, 2019년 3.0%, 2020년 1.9%가 각각 늘었다.
'M' Fun > 자료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구마구 2022 이벤트-열쇠찾기 (0) | 2022.10.26 |
---|---|
「2021 한국반려동물보고서」, 반려가구 604만 가구 (0) | 2021.04.25 |
2020년 해외 한식 소비자 조사 주요 결과-최선호 메뉴 '치킨' (0) | 2021.03.18 |
주택담보대출 유한책임 도입(금융위원회) (0) | 2018.11.14 |
군 장병 월급 2022년 67만6천원까지 인상 예정 (0) | 2018.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