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출시
다음달 14일부터 준비과정이 길었던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가 시판에 들어간다. 일임형과 신탁형으로 나눠서 출시되는데 증권사의 고유영역이 투자일임형 상품을 은행에서도 판매할 수 있는가가 이슈가 되고 있다. 금융위에서는 은행에서도 판매할 수 있도록 제도를 손질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은행의 투자일임업-ISA에 한해서
투자일임업은 투자비중의 결정 주체가 고객이냐 회사냐의 문제로 귀결된다. 즉 금융회사가 투자자로부터 얼마의 돈을 어디에 얼마의 비중으로 투자할지 대신 결정하고 관리해주는 것이 일임형으로 현재는 증권사·자산운용사·투자자문사 등에만 허용되었다. 그동안 은행은 일임형 업무를 할 수 없었지만, 금융위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에 한해서 투자자의 선택권을 넓혀주는 취지에서 시행을 풀어주려고 하고 있다.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투자자 1명이 금융회사 중 단 한 곳에 한개의 계좌만 만들 수 있다. 이 ISA계좌에 연간 2000만원 한도로 예금이나 적금, 펀드, 리츠(REITs), 주가연계증권(ELS) 등 다양한 상품을 골라 담아 5년 뒤 상품의 손익을 따진다. 여기에서 순이익 200만원까지에 대해서 비과세 혜택을 주는 상품이다.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신탁형 ISA를 선택하면 투자자는 스스로 어떤 상품에 얼마를 투자할지 결정해야 하고, 그러한 여력이 안된다면 일임형 ISA를 선택해서 본인의 투자 성향을 상담한 뒤 해당 회사가 추천하는 '모델 포트폴리오'에 따라 투자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금융회사에서 굴려주는 일임형을 선택할 것으로 예상되어 문제가 생긴것이다.
은행지점 7,300개 VS 증권사 지점 1,200개
대부분의 고객이 일임형을 선택한다고 가정하고 금융위 안이 통과되어 상품이 출시된다면 은행의 압도적인 우위를 예상할 수 있다. 은행의 판매형태를 볼때 중위험 중수익라고 팔았던 ELS와 같은 문제점들이 계속 되풀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자금력과 조직력이 증권사보다 우위에 있는 은행권은 200만원 상당의 골드바(NH농협은행), 하와이 여행권(우리은행), 자동차 경품(신한은행·한국SC은행)까지 내걸고 대대적인 판촉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국민의 자산 증식을 위한 상품으로 대대적인 홍보를 해 놓은 만큼 은행이나 금융권의 배만 불리고 마는 상품으로 전락시켜서는 안될 것이다. 세세하고 꼼꼼한 사전 준비로 전국민이 호갱이 되는 사태를 방지 할 수 있어야 한다.
(금융위)보도자료 국민재산을 늘리기 위한 ISA 활성화 방안.pdf
속기자료.pdf
'M' Money >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 한방보험] 든든양한방건강보험 가입방법은? (0) | 2016.08.28 |
---|---|
메리츠화재 간병인보험-치매간병보험과 다르다 (0) | 2016.03.28 |
동부화재 태아보험- 태아부터 우리아이 첫보험 (0) | 2016.01.04 |
활용도 높은 금융 통합조회 사이트 (0) | 2015.12.28 |
국가부채 규모 5천조원 육박 (0) | 2015.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