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

 

만혼이 늘어남에 따라 출산률이 떨어지고 있다. 출산률이 떨어진다는 것은 경제 동향에 긍정적인 요인보다는 부정적인 요인이 훨씬 많다. 앞으로 대한민국이 처하게 될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사회적으로 크게 증가될 비용을 부담해야 할 미래세대가 없다는 것은 우리의 노후가 많이 불안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대학을 입학하면서 학자금 대출로 시작하여 빚을 지기 시작한다. 금리가 낮게 받는다고 하지만, 대학 등록금이 낮은 편이 아니기 때문에 취업이 1~2년 늦춰지면 신용불량의 늪에 빠질 수 있는 구조가 양산된다.

 

 다행히 빚을 안지고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을 하여 결혼한다고 가정하여도 대출의 늪은 여기저기 도사리고 있다. 결혼을 준비하면서 남자들이 가장 많이 부담하게 되는 주택자금이 대부분 대출로 이뤄져있다. 작은 금액도 아니고 평생에 걸친 가처분 소득의 감소로 이뤄진다.

 

 인생에 준비해야할 많은 부분이 여기서 손실을 입게된다.

 

 

 

 

결혼을 하고 자녀가 출산하는 그 어마어마한 감동의 순간이 지나고 나면 부모의 책임으로 분유값과 기저귀값을 벌기 위해서 출퇴근을 반복하게 된다. 작은 비용이라고 무시하거나 만만하게 볼 사항이 아니다.

 

예전 개그 프로그램에 자신의 아이가 기저귀를 밑으로 처질때까지 버티게 한다고 했는데... 점점 공감한다.^^

 

이 많은 것들이 선순환으로 되기 위해서는 벌어서 저축하여 쓰는 습관을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만족이 습관이 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를 충족으로 이루기 위해서 노력해야 하는 습관을 만들어 주는 것이 자녀들에게 가장 필요한 경제교육이다.

 

 

 

1인당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 필요한 자금이 3억이 넘는다고 한다. 그 돈을 어디서 준비하고 대책을 세울수 있겠는가?

 

지금부터 작은 것부터 실천할 수 있는 경제시스템을 만들어보자

 

 

 

 

 

+ Recent posts